[Research] 리뷰에서 Aspect word가 될 만한 후보군을 통계적으로 추출해보기

Jonas M·2021년 8월 18일
0
post-thumbnail

앞선 단계에서 리뷰에 맞는 전처리 작업들을 했으니, 이제 이 네 가지 상품군(스마트워치, 립스틱, 무드가습기, 블루투스스피커)에서 각각 주요 단어(aspect word)가 될 수 있는 단어들을 통계적으로 선별해본다.

어려운 이유, 답이 없다..

이 작업이 어려운 이유는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Aspect word라는 건 단지 많이 등장하는 명사인가? Pre-defined된 카테고리(기능, 내구성, 디자인, 가격, 배송 등)에 속하는 단어들이어야만 하는가? 그렇다면 카테고리는 어떻게 결정하는가? 사실 규칙이 명확하게 있다면 labeling을 하는 건 쉽지 말이다...

디자인 이라는 카테고리를 눌러보면 꼭 '디자인'이라는 단어가 들어 있지 않고, 또는 어떤 명사형 aspect word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주요 표현으로 주목하고 있다. ex)'깔끔하고 이쁘다'
ABSA의 대표 데이터셋인 SemEval에서는 aspect는 거의 명사형이며 주요 카테고리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가 된다. 그리고 그에 붙은 서술어나 관형어 ("깔끔하다")를 opinion라 부른다.

여기서는 트레이닝을 위한 세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하나하나 검수하면서 라벨링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명사형' 이면서 00번 이상 등장한 단어라는 제약 조건을 걸어본다. 조건에 따라 일단 통계적으로 뽑아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을 정도의 데이터셋을 구축해보는 게 목표이다.

선정 과정

  1. Tokenize: 사전 결정한 Khaiii를 활용해서 형태소 tokenize
  2. Counter: 등장횟수를 파악해서 단순하게 많이 등장하는 단어들을 고려
  3. Customized TF-IDF: TF-IDF를 모방한 방식으로 특정 상품군에서 특히 많이 등장하는 단어들을 고려
  4. 노동.. 검수: 선별한 단어들의 적합성을 직접 검증해보기

1. Tokenize

앞서 리뷰 데이터셋 구축에 적합한 토크나이저를 비교해본 적이 있다. 관련 포스팅 Khaiii를 활용해서 형태소 단위로 리뷰를 쪼갰다. Mecab()에 비해 3~4배 정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던 것 같다. Khaiii는 .analyze 메소드를 써서 자체 정의한 클래스로 값이 return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morphs와 str()을 붙여줘서 하나하나 반환 객체를 만들어줘야 한다.

def get_tokenized(reviews, tokenizer='khaiii'):
    rst = list()
    
    if tokenizer=='khaiii':
        
        def use_khaiii(text):
            api = KhaiiiApi()
            result = list()
            for sent in api.analyze(text):
                result += sent.morphs
            return [str(word) for word in result]
        
        for review in reviews:
            rst.append(use_khaiii(review))
    
    return rst


이와 같은 형태로 morphs 단위로 자를 수 있다. 시간이 꽤 필요하니 한번 자른 것은 꼭 txt파일로 저장해두자.

2. Counter

웬만한 크기의 데이터에서 크게 차이는 건 아니지만, collections.Counter 보다 직접 loop를 돌면서 count dict를 만드는 게 속도가 빠르다. (수 차례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 아래와 같은 함수로 'NNG'(일반명사)의 태그를 갖고 있으면서 길이가 2 이상인 단어들을 Counter에 추가해주었다. 우리는 명사형의 aspect를 추출할 생각이기 때문이다.

def get_word_count(tokenized: List[List]) -> dict:
    vocab = dict()
    for sentence in tokenized:
        for word in sentence:
            if word.split('/')[1] in ['NNG'] and len(word.split('/')[0]) >= 2: # 길이 2 이상, 일반명사, 고유명사(NNP)는 제거
                if word in vocab: vocab[word] += 1
                else: vocab[word] = 1
    return vocab


상위 30개씩 뽑아본 결과, '배송', '선물', '가격', '디자인' 등이 공통적으로 등장했다. 나중에 aspect seed라 부를만한 단어들을 선정할 때 여기서 적절히 상위권에서 끊어서 반영하게 된다.

3. Cumstomized TF-IDF

TF-IDF (Term Frequency - Inverse Documnet Frequency)는 어떤 쿼리문에 가장 관련도가 높은 문서를 찾아낼 때 유용한 계산 방식이다.
TF(d,t)는 문서 d 안에서 쿼리 단어 t가 등장하는 횟수이고, IDF(d,t)는 단어 t가 등장하는 문서의 수에 반비례하는 수치이다. TF-IDF는 이 둘을 곱해준다. 아래 IDF식에서 df(t)는 단어 t가 등장하는 문서들의 숫자이다. 즉, 해당 문서에서 많이 등장하면서 다른 문서들에서는 적게 등장할 수록 이 스코어가 높다. 마침 검색엔진을 Haystack으로 구축해봤던 경험을 소개했던 글(링크)에서 설명을 해두었으니 참고.

아래는 TF-IDF와 비슷한 개념으로 Score를 뽑아내는 BM25(Best matching) 알고리즘. 복잡해보이지만 단어q가 등장하는 문서의 수가 분모에 오고(반비례), 해당 문서 내에서 단어 q가 등장하는 수가 분자에 온다는 점(비례)에서 TF-IDF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여기서는 다른 상품군 리뷰에는 많이 들어있지 않으면서 해당 상품군 리뷰에만 유의미하게 많이 들어있는 단어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위 방식들과 유사한 score metric을 만들어보았다.

  • counters: 각 상품군의 counter dict를 포함한 list

  • target_idx: 우리가 스코어를 뽑고 싶은 상품군이 counters list에서 몇 번째에 들어있는지

  • threshold: 높은 스코어를 갖는다 해도 리뷰에서 워낙 조금만 등장하면 의미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이 threshold 이상 등장하는 단어들만 걸러내기 위해 사용

  • TF는 말 그대로 그 문서 속에서 word A가 등장하는 횟수

  • IDF는 Document Frequency라는 본래 의미와 달리 여기서는 다른 상품군에서 word A가 평균적으로 등장하는 횟수로 했다.

다시 말해, 해당 상품군 리뷰에는 많이 등장하면서 다른 상품군 리뷰에서는 잘 등장하지 않을 수록 높은 스코어를 갖는 방식이다. 상품군에 특화된 aspect들을 찾기 위함이다.

def get_TFIDF(counters, target_idx, threshold):
    rst = dict()
    c_else = counters[:]
    c_target = c_else.pop(target_idx)
    
    for word in c_target:
        tf = c_target[word]
        if tf < threshold: continue # 리뷰에서 threshold 이하로 등장한다면 그냥 pass
        # IDF는 해당 단어가 다른 항목 리뷰들에 평균적으로 포함된 수
        cum = 0
        for c in c_else:
            if word in c:
                cum += c[word]
        idf = cum / len(c_else)
        
        rst[word] = round(tf/(idf+1), 4) # TF를 IDF+1로 나눈 숫자
    return rst


위에서부터 스마트워치, 립스틱, 무드가습기, 블루투스스피커 순이다. 모든 단어들이 유의미한 것은 아니지만 각각 그 상품군의 리뷰에서 유의미한 aspect를 대표할 수 있는 단어들이 꽤나 많이 포함되었다고 판단했다.

  • 워치: 착용감, 심박수, 스트랩 등
  • 립스틱: 발색, 발림, 발색력, 지속력 등
  • 가습기: 가습량, 분무량, 세척, 분사력 등
  • 스피커: 음질, 사운드, 음향, 음량 등

다음에는 단순히 많이 등장한 단어들 + 해당 상품군에서만 많이 등장한 단어들 + 공통적으로 포함시키고 싶은 소수의 단어들을 SEED aspect words라 이름 짓고 이들을 기반으로 W2V 형태의 임베딩 벡터 학습을 통해 aspect 단어가 될만한 후보들을 찾아보는 작업을 진행했다. (다음 포스팅에서)

profile
Graduate School of DataScience, NLP researcher. AI engineer at NAVER PlaceAI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