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별자리 분석

mylime·2025년 1월 16일
0

밤에 공부를 하다보면 가끔씩 위축될 때도 있고, 문제가 잘 안풀려서 머리가 아플 때도 있습니다. 이 때 밤하늘의 별을 보면 조금은 기분이 풀리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 거북목이 완화, 눈피로 풀림)

최근 별자리에 대해 조금 찾아봤는데, 하늘에 떠있는 별이 어떤 별자리인지 알고 보면 더 재밌게 밤하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어제는 드디어 겨울철 별자리 대육각형을 찾아냈는데요! 영하 4도였지만 추운줄도 모르고 계속 하늘을 보다가 들어왔습니다.

여러분도 겨울철 별자리의 종류에 대해 알면 저처럼 굉장히 재미있게 하늘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블로그에 조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겨울 별자리 대육각형

(출처: https://www.hangyo.com/news/article_print.html?no=100923)

일단 크게 보면 다음과 같이 별자리들을 연결하여 육각형을 그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 대삼각형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여기 포함된 별자리들을 하나씩 알아가봅시다



오리온 자리

겨울철 밤하늘에 가장 잘보이는 별입니다! 도시에서 살아도 오리온자리는 항상 잘 보이는데요, 중앙에 연속되는 세 점만 찾아도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큰개자리

(출처: https://astronet.co.kr/xe/gallery_const/231663)

오리온 자리 왼쪽에 위치한 가장 빛나는 별인 시리우스를 찾으면 큰개자리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시리우스 별은 강아지 목에 해당합니다)



작은개자리

별이 두 개밖에 없는데 어떻게 작은개냐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찾으면 기분 좋으니까 작은 개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오리온자리의 왼쪽 위 별인 베텔기우스와 시리우스 사이 정삼각형 모양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작은 개의 엉덩이는 프로키온 별로, 겨울철 별자리 대삼각형의 꼭짓점을 담당합니다.



겨울철 별자리 대삼각형 찾아보기

오리온자리와 큰개, 작은개 자리를 알면 겨울철 별자리 대삼각형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제가 직접 하늘을 찍은 사진입니다.(폰 카메라라서 잘 안담겼지만, 잘 보면 점이 보이긴합니다)

사진을 잘 보시면 오리온자리가 명확하게 보이고 삼각형이 그려지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당



황소자리

(출처: https://ookkoo0511.tistory.com/5)

두 개로 뻗어나온 듯한 모양을 가진 황소자리는 오리온자리 오른쪽에 위치합니다.



마차부자리

(출처: https://www.kasi.re.kr/kor/publication/post/photoGallery/4582)

오각형을 그리는 마차부자리는 황소지리 오른쪽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각형은 마차부의 몸통에 해당합니다.



쌍둥이자리

(출처: https://starboy1.tistory.com/2)

마지막으로 쌍둥이자리입니다. 쌍둥이자리는 작은 개 자리 오른쪽 위에 위치하고, 오리온자리 왼쪽 위에 위치합니다.



다시보는 겨울 별자리 대육각형

이제 겨울 별자리 대육각형에 속하는 별자리들을 모두 알아봤습니다! 대육각형 사진은 카메라에 제대로 담지못해 아쉽지만, 직접 눈으로 보면 정말 이쁩니다.


취준하느라, 공부하느라 지치실 때 밤하늘을 한 번 올려다보세요!



참고자료

https://kooljam.tistory.com/110

profile
깊게 탐구하는 것을 좋아하는 백엔드 개발자 지망생 lime입니다! 게시글에 틀린 정보가 있다면 지적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전블로그 주소: https://fladi.tistory.com/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