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6 이전에는 전역범위와 함수 범위만 존재했다. var 키워드를 위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ES6 이후에는 let 과 const라는 키워드가 등장했고 함수 범위말고도 블록 범위 라는것이 생겼다. 기본적으로 var는 함수위주의 스코프를 가져 전역 범위가 많았는데 let 또는 const는 블록범위 (if,for,while,함수) 에서 변수를 선언할 수있다. 재선언x
ES6에서 class 를 도입하였다.
prototype 은 객체간 상속을 구현하기위해 사용된다.각 인스턴스 객체는 하나의 프로토타입을 가지고있고 모든 프로토타입은 생성자 함수와 연결되어있다. prototype은 constructor 가 가지고 있고 모든 객체에는 prototype을 가지고있다. prototype은 자신의 프로토타입에 접근 또는 교체하기 위해 사용함.
자바스크립트에서의 변수 키워드는 var,let,const 가 있다. 키워드마다 스코프가 다르게 작동한다.
var 은 중복 선언이 가능하지만 let 과 const는 중복선언이 불가능하다. var 은 중복 선언이 가능함으로 의도치않게 값이 변경이 될어질 수 있다.
var은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한번에 진행됨. let은 선언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됨.
const 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 줘야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syntacxError 가 발생함.
템플릿 리터럴.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을 입력하는 방식
ES6에서부터 백틱을 사용하여 문자열을 나타낼수있다.
백틱을 사용하기전에는 줄바꿈을 할때 \n 을 사용해야하는 번거러움이있지만 백틱을 사용하면 그럴 필요가 없다.
또한 ${}를 사용하여 변수를 문자열에 바로 대입할 수 있다.
화살표 함수는 기본적인 함수를 좀더 간결하게 사용 할 수 있다.
한줄을 사용할때는 중괄호나 return 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여러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괄호 {}를 사용해야하고 return도 명시해줘 결과값을 반환해줘야함.
비 구조화 할당... 코드를 더욱 짧고 가독성이 좋아진다.
매개변수로 받아온 객체를 .(dot)을 사용하지않고 미리 구조분해 해준다.
functon parameter(...items){
console.log(items)
}
=== ['a','b','c']; 혀애로 배열 출력
rest 는 마지막에 사용하여 남은 매개변수를 한번에 다 받는다.
하나만사용가능 매개변수 두개 사용 못함.
병합할떄 뒤에있는 프로퍼티로 바뀌어짐.
const merged = {...{x:1,y:1}, ...{y:10, z:3}};
console.log(merged) = {x:1,y:10,z:3};
특정 프로퍼티 변경
const merged = {...{x:1,y:1}, y:100};
특정 프로퍼티 추가
const merged = {...{x:1,y:1}, z:100};
for ...in 객체의 key 값에 접근할 수 있지만 value 갑에 접근하는 방법은 없다.
for ...of es6 에 추가된 반복구문이다.iterator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함. (배열에서사용)
for ...in 은 객체의 키값을 이용하며 탐색할때, for ...of 는 배열을 탐색할때 사용한다고 보면됨.
자바스크립트는 크게 원시타입과 객체타입으로 나뉜다.
원시타입은 한번 생성되면 변경이 불가능한 값이다. 읽기 전용 값이다.
변수가 변하는게아니고 값이 변하게된다.
let a =1; // 변수 a 값을 1로 할당하면 주소값이랑 변수랑 연ㄱ결이됨.
a=2; // a 의 값을 2로 바뀌면 같은 메모리주소에 있는 값 1이 2로 바뀌는게 아니라
//주소값이 변경되고 값도 변경이된다. (값을 변경하기위해서 주소값도 변경되어야함)
이를 Immutability 불변성 이라고 하며 원시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재할당(주소값 변경) 하는 방법 밖에없음.
값
원시타입과는 다르게 프로퍼티의 개수는 정해져있지않고, 값이 동적으로 추가되거나 삭제되어질 수 있다.
이를 mutable 변경 가능한 값이라고 한다.
원시값이 할당된 변수의 주소를 통해 메모리에 접근하면 원시 값만을 얻을 수 있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는 주소를 통해 참조값으로 접근 할 수 있다.
참조값은 생성된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그 자체이다.
만약 객체 타입이 원시타입처럼 값이 변경할때마다 재할당을 해준다면 메모리관리에 엄청 비효율적일 것이다.
성능향상을 위해서 객체타입은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있다.
참조 자료형 타입을 선언할경우 변수와 식별자의 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값의 주소가 주어진다.
let a ={x:1} 을 할당할경우 a의 주소와 {x:1} 의 주소가 다르고 {x:1}는 참조 값이라고 할 수 있다.
a의 주소는 {x:1}인 참조 값을 참조한다.
let copy = a 를 하면 copy는 a의 참조값을 참조한다. a와 copy, 두개의 식별자는 하나의 참조값을 공유한다.
let person1 ={
name:'kim'
}
let person2 ={
name:'kim'
}
console.log(person1 === person2)
객체를 할당한 변수 식별자 person1 과 person2 는 참조타입이므로 서로 다른 주소 값을 가지고있다.
따라서 결론은 false 이다.
console.log(person1.name === person2.name)
person1.name 과 person2.name 은 원시값을 할당한 변수이므로 원시값 인 'kim'을 비교한다.
따라서 결론은 true 이다.
얕은 복사는 한단계까지만 복사하는 것을 말하고 깊은 복사는 객체에 중첩되어있는 객체까지 모두 복사하는 것을 말한다.
예시)
const origin ={x:{y:1}};
const shallowCopy = {...origin} === 중첩되어있는 객체의 경우 참조값 복사
const deepCopy = _.cloneDeep(origin); === 원시값처럼 완전하게 복사본을 만듬.
==은 동등비교 이다. x == y 는 x와 y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
=== 은 일치를 비교한다. x === y 는 x와 y의 '값과 타입'이 같은지를 비교한다.
ex)
5 == 5; 값이 같으므로 true
5 == '5'; 암묵적으로 타입을 변형시켜 타입일 같을떄의 값을 비교한다.
비교값은 같으므로 true
암묵적 타입변형시키고 값을 비교하기때문에 결과값을 예측하기 어려움.
이와 다르게 === 은 암묵적 타입 변형없이 좌항과 우항의 타입이 같은지와 값이 같은지를 비교한다.
원시값(number,stirng,boolean...등) 을 제외한 모든 타입은 객체이다.
원시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배열또한 reference type 이고
값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있기때문에 object 타입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