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석 - 무엇을 개발할지 (What)
[개념, 논리]중요- 설계 - 어떻게 개발할지 (How)
복잡한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들을 식별하고 이들 객체간에 관계를 정의함
으로써 업무 데이터를 조직화하고 구조화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의 산출물이 데이터 모델이다
데이터 모델링은 현재 업무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 사항을 도출하여 미래에 적합한 설계를
이끌어 내기 위해 인간이 해야 할 대부분의 결정들을 내리는 단계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개체 = 데이터
개념데이터 모델링은 핵심이 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논리데이터 모델링은 업무의 내용이 가장 잘 나타나야한다.
정도로 정리 가능
데이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데이터의 통합성과 독립성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해야 함.
회사 전체 관점에서 공통 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를 전 영역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설계하여 시스
템을 구축하는 통합 모델은 데이터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과거 데이터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부속품 정도로 인식되어 데이터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 관
리되었고, 데이터 중복이 많이 발생하고 데이터의 일관성 문제가 심각하게 초래되었다. 데이터가 애플리
케이션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계되어야만 데이터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시스템은 비즈니스의 변화에 대해 최적으로 적응하도록 끊임없이 요구받는다. 현재의 데이터 구조를 거의 변화하지 않고도 또는 아주 적은 확장을 통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도 있을 것.하지만 아주 많은 변화를 주어야만 한다면 변화의 대상이 되는 부분뿐만 아니라 정보시스템의
나머지 부분들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근래의 패키지 시스템들은 확장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많은 부분을 통합한 데이터 모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정보시스템에서의 ‘행위의 주체’가 되는 집합의 통합, ‘행위의 대상’이 되는 집합
의 통합, ‘행위 자체’에 대한 통합 등은 전체 정보시스템의 안정성, 확장성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