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ㅁㅇㄹㄴㅁㄹ
관계형 모델은 1970년에 에드커 커드(Edgar codd)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고 체계화 됨비즈니스 데이터를 인식, 구성하고 조직하는 잘 정돈되고 예견가능하며 직관적인 접근방법이다.관계형 모델은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어떻게 보여지며, 사용자는 데이터에 어떤 조작을 하며
정보공학 표기법 (IE Notation)ERWin바커 표기법 (Barker's Notation) \- DA✓ 제임스 마틴(James Martin)이 주창한 Information Engineering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모델 표기법✓ 까마귀발 모양과 같은 형태의 관
개념적 데이터 모델이란 건물로 말하면 철제빔으로 건물의 골격을 세워놓은 형태와 유사하다.건물의 골격이 주요 골조 자재로 구성되어 있듯이 개념 데이터 모델도 주요 핵심 엔터티들로 구성된다.핵심 엔터티란 행위의 주체나 목적물이 되는 개체 집합에 해당하는 엔티티를 의미한다.
주제영역(Subject Area)은 기업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최상위 집합이다.하나의 주제영역으로 정의되는 데이터 간의 관계는 밀접하고, 다른 주제영역에 포함되는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계획 수립 단계는 하향식 분석을 원칙으로 하고, 검증을 위
📌 엔티티 정의 절차 📌 엔티티 후보 수집 📌 엔티티 후보 식별 > 엔티티는 집합이어야 하지만 모든 집합이 모두 엔티티가 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엔티티 후보를 선정하려는 것이므로 검토하고자 하는 대상이 집합이 되는지 여부만 확인한다. 를 의미.꼭 필요한 관계만을 설정해두어야 불필요한 조인을 줄일 수 있으며, 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