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영역 정의 - 개념

한준수·2023년 9월 4일
0

데이터모델링

목록 보기
5/8
post-thumbnail

📖 주제영역 개념

  • 주제영역(Subject Area)은 기업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최상위 집합이다.
  • 하나의 주제영역으로 정의되는 데이터 간의 관계는 밀접하고, 다른 주제영역에 포함되는
    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 계획 수립 단계는 하향식 분석을 원칙으로 하고, 검증을 위해서 부분적으로 상향식 분석을 사용한다.
  • 데이터를 하향식으로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유용한 것이 주제영역이다. 주제영역은 계층적
    으로 표현될 수 있다. 주제영역을 분해하면 하위 수준의 주제영역이나 엔티티가 나타난다.
  • 현행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현행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관리 체제를 생성하고 체계화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향식 분석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는 상위 수준에서 파악하기 위해 전사적인 관점에
    서의 데이터 분류를 수행하고, 주제영역(Subject Area)이라는 이름으로 관리하게 된다.
  • 전체 데이터 구성 관리가 용이한 수준에서 정의
    ✓ 총 주제영역개수(최상위)는 20개 내외가 적당
    ✓ 필요 시 계층별 주제영역 관리
    ✓ 하나의 하위 주제영역을 통해 관리되는 엔티티는 가급적 100개를 넘지 않는 것을 권장

📖 주제영역 분류

📌 원칙

일반적으로 주제영역 별로 담당자가 나눠진다.

✍ 데이터 중복 최소화

  • 동일한 기능을 하는 자원이 중복 정의되어 낭비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분류 작업이 필요

✍ 데이터 확장성 보장

  • 가까운 미래의 추가되어지는 정보에 대해 최대한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분류 체계가 설계되어야 한다.

✍ 데이터 관련성 및 편의성 확보

  • 타 자원(정보 및 지역)과의 인접성을 고려해 설계
  • 고객편의(정보 요건)를 고려한 자원 내의 핵심적인 데이터 집합에 대한 것을 명시
  • 핵심 관계에 대한 것도 명시
  • 필요에 다라서는 표준화된 타 영역의 설계(참조 모델)도 참조하여 데이터 분류를 생성

📌 사례 : 범정부 참조 모델


📌 주제영역 활용

✍ 목적

✓ 데이터의 계층적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업무 기능(Function)과 병행하여 분석하는 경우에 분석의 최상위 단위 역할을 하여 품질 확보에 기여한다.
✓ 주제영역 계층과 업무 기능 계층 간의 대응 관계를 확인한다.
✓ 주제영역은 기업의 전사 업무를 위한 전체 데이터 구성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한다.
✓ 데이터 구성 및 통합에 대한 방향 제시(선언적 성격)
✓ 주제영역을 기반으로 데이터 오너쉽을 부여하고, 효율적 데이터 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 장점

✓ 데이터 및 업무 활동 모델의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
✓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용이
✓ 모델 개발 조정(Development Coordination) 용이
✓ 리포지터리(Repository) 관리 용이
✓ 상세 사항의 전개 혹은 축약 가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