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엔티티 선정 - 개념

한준수·2023년 9월 11일
0

데이터모델링

목록 보기
6/8

📌 엔티티 정의 절차


📌 엔티티 후보 수집


📌 엔티티 후보 식별

엔티티는 집합이어야 하지만 모든 집합이 모두 엔티티가 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엔티티 후보를 선정하려는 것이므로 검토하고자 하는 대상이 집합이 되는지 여부만 확인한다.


📌 수집된 엔티티 분류

✍ 우선적용 대상 분류

수집된 엔티티는 크게 '개체' 집합과 '행위'집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개체 : 고객, 상품, 조직, 부품/장비 등 자식들을 많이 생산할 가능성이 있는 집합 - 키(key) 엔티티
  • 행위 : 변경내역 등 개체 집합간의 관계를 통해 생산된 새로운 집합 - 메인(Main), 액션(Action) 엔티티

📃 사례

✍ 데이터 영역별 분류

✓ 골격에 해당하는 엔티티들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상위 엔티티가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고서는 사상
누각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세한 모델링이 진행되더라도 굳건하게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정의를
해야 한다.
✓ 골격 엔티티들의 의미를 정밀하게 비교하여 구체화시키기 위해서는 유사한 의미를 가진 엔티티를 서로 모아 함께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텍스트다. 미묘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들은 곁에 놓고 같이 비교해 보지 않으
면 쉽게 그 차이를 알아낼 수 없다.
✓ 데이터 영역을 정의하는 방법은 접근 방법별로 볼 때 크게 하향식(Top-Down)과 상향식(Bottom-Up) 접근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그 구성에 따라 세상의 모든 집합을 크게 나누어 행위의 주체나 목적물이 되는 개체들이 모인 집합과 그들의 활동으로 얻어지는 행위의 집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