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차 멘토링 피드백>
🎈멘토님 : 2주 동안 얼마만큼 나아졌나, 헛소리는 없는지, 실제 구현 가능 할지 중점으로 볼 것 같다
- 데이터 분석을 하려면 정확한 기준을 정하고, 우리만의 관점으로 풀어서 진행해야 함
- 너무 많은 것을 가져가려 하지 말고, 핵심 기능 하나를 잡고 깊게 파고 들기
- 전처리 기준이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정제했고, 몇 개 살릴 건지 등 사고 과정 기록)
- 사용한 데이터, 사용 모델,
- 우리만의 관점으로 접근한 사고 과정 보여주기 (데이터 기반 근거 잡는 것이 중요) - 논리적인 문제해결력
- 무엇을 구현했냐 보다 어떤 생각을 가지고 기획을 했는지가 중요
- 타협을 안하고 깊이 있게 파고들어 보기?
💡
<2차 멘토링 피드백>
- 너무 흔하다. 우리 서비스만의 킥이 필요
- 리포트 사용료 지불하면서도 쓸만 한가? 돈을 쓰고라도 사용자가 쓸만한 기획이면 좋겠다. 리포트 사용료 지불.
- 분석리포트를 디테일하게?러프하게? 가져갈지 확인.
→ 간단하게 보여 줄 건지, 디테일하게할지 고민
- 기획단계에서 예산설정부분, 일정, 성공지표 등 기획서 내용적 측면 피드백도 주셨음
💡
<3차 멘토링 피드백> 11/29
-
조사를 바탕으로 논리 흐름→찾아보기”귀찮음”으로 가져가기
- 부정보다 “귀찮음의 논리로 밀고 가자.
- 선택의 시간 줄여줌, 귀찮음 해결에 초점 +크로스 체크로 3사리뷰 분석이용 → 어디갈지 바로 결정가능
- 기세로 밀고 가야 한다.
- 너무 많은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들 다 잡으려 하지 말고 핵심 기능 하나 잡고 밀고 나가기 (킥)
- 오히려 소수 타겟을 노리는게 더 효과 좋을 것
-
분석은 부정으로 밀고 가도 되는데, 기획은 귀찮음의 논리로 기능 설명 타당성 밀고 나가기
-
수익구조? 음식점 사장님들에게 돈을 받는 구조인데, 부정리뷰를 너무 포커스해서 보여주면 우리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하지 않는 문제 발생 → 숨김기능 추천해주심
- 소비자구독료보다 “생산자”에게 집중.
- 장사 안되는데 평점 높은 곳 소개해주어 상위 노출 → 광고비 받기
- 돈안내면 소개 못해준다. 맛집리스트목록에서 뺀다?→ 돈을 지불안할 수 없음
- 일단, 처음 앱을 출시하고 최대한 많은 트래픽을 올려야 음식점 사장님들이 기꺼이 돈을 지불하면서 앱을 이용할 것. “트래픽”이 매우 중요.
- 이 앱을 통해 사람들이 방문했다는 기록만 확인되면 음식점 사장님들은 광고비를 쓸 수 밖에 없다.
- 핫플로 띄워서 보여주고 이에 대한 광고 수익 받는다.
-
분석리포트?
- 평균가격 분포도 칭찬받음 → 이를 좀 더 디벨롭
- 사분면분포로 주머니 사정을 고려한 음식점추천 가능(예를 들면 1사분면은 가성비, 3사분면은 고급 등+ 부정리뷰에서 한번 더 걸러지는?
-
핀요소?
- 표(가격요소 들어간것),
- 구글 평균단가를 사용한 추천(한번밥값얼마인지 설문)
- 구글 → 평균, 가격활용
- 가입시 질문을 통해 →평소 식대비, 소비, 주로 가는 카페 등 질문을 통한 정보 수집 → 소비패턴에 따른 맞춤형 추천 가능 (내 주머니 사정을 고려한 최적의 음식점 추천)
- 보고서의 가성비 - 소득수준별 가격대별로 소득수준
-
음식점 월드컵? 우리의 논리는 귀찮음이기에 굳이 이것까지 할까?라는 생각→ a/b테스트로 드롭 이유 만들기
- 음식점 월드컵은 뺀 이유를 a/b테스트 를 시행해서 논리/근거 만들기
- a/b테스트→ 이런 버튼 안 누르는 것 확인- 분석 과정을 통한- 아이디어 drop “논리로 가져가
- 4일까지 1차 배포 목표
- 전체리뷰 워드클라우드
- 반경 내 동일 업종 부정리뷰 비율 (미미한 비율로 4번 대체)
- 반경 내 동일 업종 가게별 평균 식대 분포도 제공
- 부정리뷰의 원인 카테고리' 맛, 서비스, 양'별 부정리뷰보여주기 or 키워드 5 요약 해서 내용 간략하게?
- 별점과 대표메뉴 그래프 그려서 '가성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