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피곤해서 선물 받은 오쏘몰을 먹었는데,
왜 도핑제라는 별명이 있는지 알 것 같다.
먹은지 10분 만에 잠이 싹 달아난다.
이게 돈의 맛인가
copy의 경우 shallow copy를 하기 때문에 1차원 리스트에서는 값을 잘 복사해오지만, n차원 리스트부터는 1차원 리스트 내의 리스트들의 주소를 복사해오기 때문에 같은 주소를 가리키게 된다.
이 때문에 copy로 2차원 리스트를 복사하고 값을 수정하면, 원래 리스트의 값도 바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리스트의 값들만 copy 해오려면, n차원 리스트에서는 deepcopy 메소드를 이용해 리스트 내의 값들까지 다 복사해야한다.
[max_val, max_id]
를 반환한다.
GAN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면,
generator
와discriminator
가 서로를 속이려는 네트워크이다.
서로 속이기 위해 학습하며 적대시하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걸 유도하는 식은 솔직히 이해가 안 된다 ,,
input은 encoder를 통과하며 latent vector z를 생성하고
이것이 미리 정의 되어있는 공간에 있는지 확인하거나 매핑하여 decoder를 통과하여 다른 결과로 바뀐다고 이해는 했지만 잘 이해한 지도 모르겠고 너무 어렵다!
노이즈로부터 이미지를 생성해내는 모델.
Forward 과정은 노이즈를 추가하는 것이고,
Reverse 과정이 노이즈를 없애는 것이다.
Reverse 과정에서 clean image를 얻는 방식을 학습한다고 한다.
솔직히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다(?)
데이터의 시각화는 목적, 독자, 데이터, 스토리, 방법, 디자인
을 고려해야한다.
데이터의 종류는 크게 수치형, 범주형으로 나뉘고 수치형은 연속형과 이산형, 범주형은 명목형과 순서형으로 나뉜다.
사용해본 적은 많지만, 대부분 어떻게 그려지는지 이해를 못한 채로
그냥 검색해보고 쓰거나 갖다 쓰기만 했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서 어떤 메소드들이 있고, 어떨 때 사용하면 좋을지
천천히 알아보고 싶다.
서두르지 말고,
한 발짝씩 나아가기
잘보고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