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 머신러닝
, 딥러닝
등... 개발 분야에서 굉장히 핫 한 키워드들이다.
위 키워드들에 대해 자세히 배울때, Python으로 직접 구현해 보고 싶을 때, 절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두 가지가 Numpy
, Pandas
이다.
다른 블로거 분들도 굉장히 자세하게 정확한 정보들을 주고 계시지만, 나 같이 난독증 있고 물음표 살인마인 사람들에게 더 도움이 될 정보들을 담아보려 한다.
또한, Numpy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직접 작성해야하는 코드의 효율성을 직접 비교하며 알아보려 한다.
벡터
와행렬연산
을 지원해서 더 빨리 계산된다는 건 알겠고,
그래서 뭐 때문에 성능이 더 좋아서 사용하는데?
Big-O 표기법을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해 아래에 표를 기재 해두겠다.
(아래로 갈 수록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면 된다.)
표기법 | 형태 | 예시 |
---|---|---|
O(1) | 상수 | data[i] = 인덱스로 값 찾기 |
O(log n) | 로그 | 이진 탐색 |
O(n) | 선형 | for문 |
O(n log n) | 선형로그 | data.sort() = 파이썬 기본 정렬 |
O(n^2) | 이차 | 이중 for문 |
O(n^3) | 삼차 | 삼중 for문 |
간단한 예시로 리스트 각각에 3을 더한 요소를 반환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해 보자.
score = [12, 34, 56]
# 일반적인 방법
score_origin = [3+i for i in score]
print(score_origin)
결과: [15, 37, 59]
# Numpy 사용
score_numpy = np.array(score)+3
print(score_numpy)
결과: [15 37 59]
결과를 보면 다른점은 ,
가 있는지 없는지 하나밖에 안보인다.
이것만 봐서는 뭐가 나은지, 왜 좋은지를 모르겠으니 실험을 하나 해보자.
1억개의 데이터를 생성을 하고, 시간을 측정해보자.
# 일반적인 방법
import time
start = time.time()
arr = [i for i in range(100000000)]
end = time.time()
print('list 1억개 생성 소요시간은 ', end-start, '초입니다.')
결과: list 1억개 생성 소요시간은 6.2452921867370605 초입니다.
# Numpy 사용
import time
import numpy as np
start = time.time()
arr = np.arange(100000000)
end = time.time()
print('numpy array 1억개 생성 소요시간은 ', end-start, '초입니다.')
결과: numpy array 1억개 생성 소요시간은 0.9000861644744873 초입니다.
1억개의 데이터인데도 시간 차이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데이터들이 10억, 100억개가 넘어가면 더욱 더 많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왜냐면 Numpy의 시간복잡도는 O(1)
, 기본 for문을 거친 데이터 생성은 O(n)
이기 때문이다.
예제 하나를 보면 바로 이해가 가능 할 것이다.
Python List
# Python
python_list = ['100', 200, True, 3.14]
print(python_list)
결과: ['100', 200, True, 3.14]
# Python
python_list = ['100', 200, True, 3.14]
for e in python_list:
print(type(e))
결과:
<class 'str'>
<class 'int'>
<class 'bool'>
<class 'float'>
Python List로 생성한 원소들은 각자 모두 Type을 개별
로 저장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Numpy List는?
# Numpy
python_list = np.array(['100', 200, True, 3.14])
print(python_list)
결과: ['100' '200' 'True' '3.14']
# Numpy
python_list = np.array(['100', 200, True, 3.14])
for e in python_list:
print(type(e))
결과:
<class 'numpy.str_'>
<class 'numpy.str_'>
<class 'numpy.str_'>
<class 'numpy.str_'>
모든 값이 str
Type으로 바뀐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Numpy는 한 가지 Type으로만 데이터를 담기 때문에 더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Numpy는 여러 Type의 데이터를 못 담나?
그건 아니다.
# Numpy
python_list = np.array(['100', 200, True, 3.14], dtype=object)
for e in python_list:
print(type(e))
결과:
<class 'str'>
<class 'int'>
<class 'bool'>
<class 'float'>
위 코드처럼, 배열에 저장할 때 dtype=object
를 넣어주면 각각 데이터 타입을 유지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근데 이렇게 쓸거면 그냥 Numpy 쓰지않는게 좋다.
같은 데이터 빨리 행렬연산 하려고 Numpy
쓰는거지, 여러 데이터 타입을 담으려고 쓰는건 아니니까..
Numpy는 BroadCasting이라는 것이 있다.
BroadCasting
이란, 다른 차원을 가지고 있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는 도중 산술 연산이 가능하도록 차원을 맞춰주는 것이다.
이 덕에 Numpy를 사용하면 방대한 양의 데이터도 순식간에 처리할 수 있는 속도가 나오는 것이다.
BroadCasting도 무조건 되는건 아니고, 크게 2가지의 조건이 있다.
조건1: 연산 할 데이터가 1개의 사이즈
[1, 2, 3, 4]*3
[1, 2, 3, 4]*[5, 6, 7]
조건2: 연산 할 데이터의 사이즈가 같을 때
[1, 2, 3, 4]*[5, 6, 7, 8]
이정도만 알아도 될 것 같다.
실제로 Numpy가 어떻게 많이 사용되는지 보자.
dim1 = [1, 2, 3] # 1차원 데이터
dim2 = [[1, 2, 3, 4], [6, 7, 8, 9]] # 2차원 데이터
dim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 3차원 데이터
score_numpy = np.array(dim1)
score_numpy.shape
결과: (3,)
score_numpy = np.array(dim2)
score_numpy.shape
결과: (2, 4)
score_numpy = np.array(dim3)
score_numpy.shape
결과: (2, 2, 3)
위 데이터들이 출력되는게 어떤것을 뜻하는지 이해가 가는가?
순서대로 1차원, 2차원, 3차원의 데이터이다.
쉽게 얘기하면
1차원의 경우 (3, )
으로 끊어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type이 tuple
이라 그런 것이고, 데이터의 개수를 표시해준다.
2차원의 경우 (2, 4)
로 나누어진 이유는 4개의 데이터가 2묶음 있다는 뜻이다.
3차원 데이터의 경우도 마찬가지. (2, 2, 3)
로 출력된 이유는 3개의 데이터가 2묶음씩 2개 있다는 뜻이다.
더 쉽게 얘기하면
4차원 이상의 다차원에서도 뒤에 있는 값부터 순서대로 보면 된다.
더 더 쉽게 얘기하면
(2, 2, 3)
(3차원, 2차원, 1차원)
arr = np.array([1.21, 2, 3, 4.4])
print(arr.dtype)
print(arr)
결과:
float64
[1.21 2. 3. 4.4 ]
dtype
은 특정 변수, 객체 등의 type이 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arr = np.array([1.21, 2, 3, 4.4])
arr = arr.astype('int64')
print(arr)
결과:
[1 2 3 4]
astype
은 elements의 type을 한번에 변환 시켜준다.
이거 굉장히 좋다..
x = np.array([1, 4, 2, 3, 9])
x > 2
결과:
array([False, True, False, True, True])
근데 이게 뭐가좋아요?
result = x > 2
result.sum()
결과:
3
기본적으로 True == 1
, False == 0
이다.
그래서 위와 같이 sum()
을 사용해서 수많은 데이터 중 조건보다 큰 값, 작은 값등이 총 몇개있는지 빠르게 구할 수 있다.
실제로 머신러닝, 딥러닝에서 데이터 전 처리 과정 중, 결측치를 구할때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건 정말 확실히 알고가는게 좋다.
여러 차원의 데이터를 한번에 합치고 싶은데, 행 방향으로 합치거나, 열 방향으로 합칠 수 있다.
arr1 = np.array([[1, 2, 3, 4],[11, 12, 13, 14]])
arr2 = np.array([[5, 6, 7, 8],[15, 16, 17, 18]])
# concatenate(axis=0)
np.concatenate((arr1, arr2), axis=0)
# vstack
np.vstack((arr1, arr2))
결과:
array([[ 1, 2, 3, 4],
[11, 12, 13, 14],
[ 5, 6, 7, 8],
[15, 16, 17, 18]])
위 두가지 기능 모두 데이터를 행
으로 합쳐준다.
# concatenate(axis=1)
np.concatenate((arr1, arr2), axis=1)
# hstack
np.hstack((arr1, arr2))
결과:
array([[ 1, 2, 3, 4, 5, 6, 7, 8],
[11, 12, 13, 14, 15, 16, 17, 18]])
마찬가지로, 위 두가지 기능 모두 데이터를 열
로 합쳐준다.
사실 Numpy
는 단일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직 못봤다.
보통 빅데이터에서 많이 사용되니 pandas
나 ML
, DL
과 연계되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문법은 이정도만 알아도 충분할 것 같다.
그래서 다음 게시글은 Pandas
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