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개념의 중요성을 느꼈다.... 요즘 직무 면접에서 워낙 많이 나오는 개념들이라 과목을 들을때 시험을 위해서 공부한 내용들이 머리에서 다 잊혀져갔다... 지금부터라도 정리해보자는 마음에 시작하는 나의 첫 BLOG! 많이 부족하니 너무 뭐라고 하지마시길.. > 프로세
첫번째 포스팅에서, 스레드에 관한 이야기를 짧게 했었다. 스레드는 프로그램 내부의 흐름이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쓰레드를 갖는다. 하나의 프로그램에 스레드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멀티 스레드라고 한다. 이렇게 한 프로그램에 여러 개의 스레드 즉, 여
CPU가 하나의 프로세스 작업이 끝나면 다음 프로세스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 때, 다음 프로세스가 어느 프로세스인지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CPU Scheduling 알고리즘 이라고 한다. 간단히 생각해보면 먼저 온 프로세스가 먼저 실행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지만
프로세스 동기화? > 하나의 자원을 한 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또는 thread)만이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것. 그 반대의 경우는 '비동기' 이다. 배경 현대 컴퓨터의 메모리에는 여러 프로세스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프로세스들이 하나의 공유 메모리(공유 자원)나 또
세마포어는 테스트될 수 있는 음이 아닌 정수 변수를 두 개(P,V)의 분할할 수 없는 함수에 의해서 변경가능한 기법을 말한다.아래는 P와 V에 관한 설명이다.V = 증가시키다 / P = 테스트하다.V(s) : s = s+1P(s) : while(s==0) {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