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 새 레벨 > Basic
월드 세팅 > 게임모드
프로젝트 세팅 > 시작 레벨 변경
모델링 모드 : Shift + 5
기본 모드 : Shift + 1
팁: 큐브그리드 기능 사용전에 SM_Skysphere 눈 모양 꺼주기
새 에셋을 생성합니다 라는 메세지 떠있는지 반드시 확인하기
채우기(Pull) : e
비우기(Push) : q
올리기 : Shift + E
내리기 : Shift + Q
큐브 생성 방향 전환하기 : T
- 큐브 그리드 기능 사용이 끝났다면
완료
버튼 누르기
안누르고 다른걸 누른다면 저장이 안됩니다
- 별사탕 마크가 있다는 뜻은 작업한 내용물은 메모리에 올라와 있지만 디스크에 저장은 안되어 있다는 뜻
이 상태에서 언리얼엔진 에디터가 꺼지거나 작업을 종료하면 사라진다

ThirdPerson > Blueprints > 캐릭터 뷰포트에 배치 후 위치 조정
플레이어 자동 빙의 : Player 0 으로
실패 트리거 (떨어지면 죽게 끔 낙하지점에 넓게 ~ )
코너 모드 : Z
기즈모 표시 : R
기즈모 재설정 : Ctrl + 마우스 휠 클릭
큐브 크기 조정
확대 : Ctrl + E
축소 : Ctrl + Q
활성 머티리얼 변경 후 Assign Active Material
Alt + J
, Alt + K
이용하면 편리하게 가능
블로킹 볼륨은 일반적으로는 안보이기 때문에
작업 할 때 플레이어 콜리전 모드로 보면 잘 보임
모델링 툴은 외부 모델링을 가져와도 수정 가능한가요?
외부에서 작업한 모든 모델링 툴은 언리얼엔진으로 들어오면 스태틱메시 형태로 들어온다.
모든 고정된 배경 물체는 스태틱메시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모델링 툴은 변환된 스태틱 메시를 수정하는 툴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외부 3D프로글매에서 모델링할 때 확장자는 무엇으로 해야 언리얼에서 유리한가요?
일반적으로 게임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사실상의 표준은 FBX 표준이다.
기타 OBJ같은 많이 쓰이는 것도 다 불러오기 가능하다.
시작해요에서는 프로젝트명과 스태틱 재질에 이름을 모두 영어 이름으로 써야 한다는데 선생님께서는 전부 한글로 이름을 적었습니다. 문제가 없는건가요?
문제가 나오는 대부분의 것들은 언리얼엔진을 익혀서 완제품으로 만들거나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나오기 때문에 학습을 진행할 때는 문제가 없다.
언리얼엔진에 친숙해진다면 한글보다 영문으로 작성하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영문으로 작업 하다보면 관련된 기능들을 검색을 할 때 구글이나 검색 사이트에서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언리얼엔진 강좌들이 많은데 기초를 익히고 따라 만드는게 좋을까요? 직접 만드는게 좋을까요?
좋은 강좌가 너무 많다는게 문제이자 장점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것 보다 여러분들이 언리얼엔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했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
여러분들이 효율적인 강좌를 선택해서 100시간 걸린 것을 10시간 걸림녀 좋겠다고 생각하시는데 결과적으로 100시간동안 에디터를 만지고 여러가지를 시도하신 분들이 가장 잘 쓰게 된다.
그러기 때문에 어떤 좋은 강좌를 선택하기보다 내가 정한 강좌를 통해서 얼마나 많이 쓸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두시면 좋으실 것 같다.
(고르는 시간에 직접 한번 해봐라)
언리얼엔진 사용 목적을 크게 분류할 수가 있는데
1) 레벨 디자인만 사용
2) 블루프린트만 사용
3) C++
어떤것을 내 전공에 맞춰서 할지 결정한 다음에 거기에 관련된 강좌를 듣고 많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블루프린트를 공부할 때 해당 명령어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어떤 방법으로 공부해야 좋을까요?
몇가지 팁을 드리자면 게임 제작을 오래하다보면 사용하는 몇가지 중요한 키워드가 있다.
그래서 게임제작의 어떤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되는 키워드를 가지고 검색을 하다보면 내가 원하는 명령어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 키워드라는 것을 바로 알려드린다고 알 수 있는것이 아니고 여러분들이 직접 개발을 하면서 서서히 얻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은 없다.
여러분들이 많이 시도해보면 자동적으로 어떤 키워드들이 쏙쏙 들어오게 된다.
지식을 쌓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블루프린트 노드를 직접 찾게되는 경지에 오를 것이다.
[게임 제작을 위한 시작해요 언리얼] 2주차 레벨 제작을 위한 언리얼 모델링 입문
https://velog.io/@youhyeone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