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에서> HTML은 페이지의 뼈대를 담당한다. CSS는 페이지의 디자인을 담당한다. JavaScript는 페이지의 기능을 담당한다. CSS> Code는 외울 필요없이 그때그때 필요한 것만 찾아서 사용하자. div는 그룹(폴더)를 만드는 코드다. class를 명명
JQuery> JavaScript를 짧게 간추려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JQuer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코드가 필요하다. > $('#id').text(''); hide, show, val, append 등 직관적으로 다양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서버-
Python> 파이썬 문법은 익숙하므로 앞 기초 공부는 생략! Java와는 다르게 파이썬은 문법의 {} 대신에 :를 쓴다는 것과 for i in range 꼴을 상기해두자. 파이썬의 라이브러리(패키지)는 매우 방대하다. 즉, 패키지 설치 = 외부 라이브러리 설치 가상
Flask> HTML과 MongoDB를 연동하여 서버를 만든다. 자신의 클라이언트로 자신의 서버를 들어가는 것을 Local host 개발환경이라고 한다.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들을 모아둔 것을 Flask Framework라고 한다. > from flask i
Flask> pymongo에서 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기 위해 sort()를 사용한다. > $ ssh -i 'pem경로' ubuntu@13.125.35.89 mkdir - 폴더 만들기 ls - 폴더 보기 cd - 들어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