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과 MongoDB를 연동하여 서버를 만든다.
자신의 클라이언트로 자신의 서버를 들어가는 것을 Local host 개발환경이라고 한다.
서버를 구동시켜주는 편한 코드들을 모아둔 것을 Flask Framework라고 한다.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ome(): return '내용' if __name__ == '__main__': app.run('0.0.0.0',port=5000,debug=True)
포트 5000의 localhost 서버에서 초기 페이지(route)에 '내용'을 띄운다.
Flask 서버는 두 개의 기본 폴더가 필요하다. static은 css나 img 파일을 담아둘 때 사용한다. templates는 html을 담아둔다. 이후 다음 코드를 사용하면 폴더 속 ingredients를 불러온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nder_templates def home(): return render_template('index.html')
GET을 요청하는 API 코드는 다음과 같다. request, jsonify의 import도 필요하다.
@app.route('/test', methods=['GET']) def test_get(): title_receive = request.args.get('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GET!'})
POST를 요청하는 API 코드는 다음과 같다.
@app.route('/test', methods=['POST']) def test_post(): title_receive = request.form['title_give'] print(title_receive) return jsonify({'result':'success', 'msg': '이 요청은 POST!'})
웹 제작 과정은 다음 순서대로다.
head에 들어가는 body 이외의 페이지 속성을 설명하는 태그다.
ex) 카톡 페이지 링크 이미지, 검색에 표시될 설명문 등
파이썬에서의 soup 순서와 페이지의 meta 태그의 순서가 달라서 크롤링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는 meta[]를 입력해준다.
soup.select_one('meta[property="og: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