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mongo에서 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기 위해 sort()를 사용한다.
.sort('name',-1)
name을 정렬하며, 1은 오름차순, -1은 내림차순이다. db.users.find() 뒤에 붙이면 된다.
프로젝트에 대해 언제나 수신, 응답을 하려면 항상 서버가 켜져 있어야 하고, 서버를 구동 중인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어떤 컴퓨터든 가능하기 때문에, 내 웹서비스를 대신 구동해주고 보안이 좋은 클라우드 환경의 서버를 구입하는 것이 좋다.
한번 AWS로 서버를 구동해본다.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2/v2/home?region=ap-northeast-2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서버에 원격 접속을 한다.
$ ssh -i 'pem경로' ubuntu@13.125.35.89
mkdir - 폴더 만들기
ls - 폴더 보기
cd - 들어가기
파이썬 파일을 FileZilla를 통해 AWS에 넣은 후 Git에서 다음 명령어를 쓰면 실행된다.
python3 '이름'.py
sh 파일에 권한을 주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작성한다.
sudo chmod 755 '이름'.sh ./'이름'.sh
만약 서버에 라이브러리가 없다면 Git에 다음 명령어를 쓴다.
pip install '라이브러리 이름'
서버의 password를 설정하려면 ec 실행 파일에서 수정 가능하다.
(연습에서) mongoDB를 서버에서 접속시키려면 다음의 코드를 app.py에 삽입한다.
client = MongoClient('mongodb://test:test@localhost', 27017)
CMD를 꺼도 서버를 돌아가게 하기 위해 다음 코드를 Git에 입력한다.
nohup python app.py &
서버를 끌 때는 다음 코드를 입력한다.
ps -ef | grep 'app.py' kill -9 'process number'
최종적으로 og를 사용할 때는 index.html에 다음 meta 코드를 작성한다.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원페이지 쇼핑몰"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양초를 팝니다."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 url_for('static', filename='ogimage.jpg') }}" />
☆완강 축하!!! 자축자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