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벨만-포드 알고리즘 (Bellman-Ford Algorithm)

박지훈·2021년 5월 13일
15

Algorithm

목록 보기
13/13


벨만-포드 알고리즘(Bellman-Ford Algorithm)이란?

  • 벨만-포드 알고리즘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 간선의 가중치가 음수일 때도 최단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있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도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인데, '벨만-포드는 또 뭘까?'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다익스트라벨만-포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벨만-포드 vs 다익스트라

위 그림을 보자. 우리는 '1번 노드에서 3번 노드로 가는 최단 거리'를 구한다고 가정하자. 우리의 육안으로 보면 '1번 -> 3번'으로 가는 경로는 2가지이다. 1번 -> 3번(cost:10)1번 -> 2번 -> 3번(cost:20-15=5) 2가지로, '1번 노드에서 3번 노드로 가는 최단 거리'는 5이다.

이제 육안으로 보지않고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하므로 1번 -> 3번(cost:10)의 경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처럼 음수 간선이 존재하면 최단 거리를 찾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반면에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모든 간선을 전부 확인하므로 1번 -> 2번 -> 3번(cost:20-15=5)의 경로를 선택하여, 최단 거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매번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하여 한 단계씩 최단 거리를 구해나간다.

  • 음수 간선이 없다면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다. (음수 간선이 있을 때는 최적의 해를 찾을 수 X)

  • 시간 복잡도가 빠르다. (OElogV) --> 개선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우선순위 큐 사용)


[벨만-포드 알고리즘]

  • (정점 - 1)번의 매 단계마다 모든 간선을 전부 확인하면서 모든 노드간의 최단 거리를 구해나간다. (<-->다익스트라와 차이점은 매 반복마다 모든 간선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다익스트라는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 거리가 가장 가까운 노드만을 방문한다.)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에서의 최적의 해를 항상 포함하게 된다.
  • 음수 간선이 있어도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다. (음수 간선의 순환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시간 복잡도가 느리다. O(VE)


모든 간선의 비용이 양수일 때는 다익스트라를, 음수 간선이 포함되어 있으면 벨만-포드를 사용하면 된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수행과정

벨만-포드의 과정은 아래와 같다.

  1. 출발 노드를 설정한다.

  2. 최단 거리 테이블을 초기화한다.

  3. 다음의 과정을 (V(=정점) - 1)번 반복한다.

    1. 모든 간선 E개를 하나씩 확인한다.
    2. 각 간선을 거쳐 다른 노드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 만약 음수 간선 순환이 발생하는지 체크하고 싶다면 3번 과정을 한 번 더 수행한다.
    --> 이때 최단 거리 테이블이 갱신된다면 음수 간선 순환이 존재하는 것이다.

음수 간선 순환을 왜 확인하는지 알아보자.

사진 출처 : 링크

그림에서 '2번, 3번, 5번 노드들' 음수 간선의 순환이 포함되어 있다. 만약 '2번 -> 5번'으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면 2번 -> 3번 -> 5번(cost:2+1-4= -1)로 -1이 된다.
그러나 '2번 -> 5번'으로 가는 경로는 순환(cycle)이 있기 때문에 비용을 -1로 단정지을 수 없으며, 순환을 계속 돌게되면 '2번 -> 5번'으로 가는 비용을 무한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1번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에서도 비용을 무한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최단 거리를 구할 수 없게되므로 우리는 꼭 음수 간선 순환을 확인해주어야 한다.

V - 1까지 모든 단계를 진행한 후, 다음 단계인 V번째 단계일 때도 최단 거리 테이블이 갱신된다면 최단 거리를 무한히 줄일려는 시도이므로 음수 간선 순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V번째 단계에서 최단 거리 테이블이 갱신 여부로 음수 간선 순환을 확인할 수 있다. (V - 1까지 단계를 진행하면 모든 노드에 대한 최단 거리가 확정된다.)


벨만-포드 알고리즘 코드 (Python)

[BOJ 11657]의 정답이기도 하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 노드의 개수, 간선의 개수를 입력
v, e = map(int, input().split())
# 모든 간선에 대한 정보를 담는 리스트 만들기
edges = []
# 최단 거리 테이블을 모두 무한으로 초기화
distance = [INF] * (v + 1)

# 모든 간선의 정보 입력
for _ in range(e):
    a, b, c = map(int, input().split())
    # a번 노드에서 b번 노드로 가는 비용이 c라는 의미 (a -> b 의 비용이 c)
    edges.append((a, b, c))


def bellman_ford(start):
    # 시작 노드에 대해서 초기화
    distance[start] = 0
    # 전체 v - 1번의 라운드(round)를 반복
    for i in range(v):
        # 매 반복마다 '모든 간선'을 확인한다.
        for j in range(e):
            cur_node = edges[j][0]
            next_node = edges[j][1]
            edge_cost = edges[j][2]
            # 현재 간선을 거쳐서 다른 노드로 이동하는 거리가 더 짧은 경우
            if distance[cur_node] != INF and distance[next_node] > distance[cur_node] + edge_cost:
                distance[next_node] = distance[cur_node] + edge_cost
                # v번째 라운드에서도 값이 갱신된다면 음수 순환이 존재
                if i == v - 1:
                    return True

    return False


# 벨만 포드 알고리즘 수행
negative_cycle = bellman_ford(1)

# 음수 순환이 존재하면 -1 출력
if negative_cycle:
    print("-1")
else:
    # 1번 노드를 제외한 다른 모든 노드로 가기 위한 최단 거리를 출력
    for i in range(2, v + 1):
        # 도달할 수 없는 경우, -1 출력
        if distance[i] == INF:
            print("-1")
        # 도달할 수 있으면 거리 출력
        else:
            print(distance[i])
  • 시간 복잡도는 O(VE)이다.
    V번 반복에 대해서 해당 정점과 연결되어 있는 모든 간선(E)을 탐색해주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는 O(V*E) = O(VE)가 된다.

참고 : https://velog.io/@qweadzs/%EC%95%8C%EA%B3%A0%EB%A6%AC%EC%A6%98-%EB%B2%A8%EB%A7%8C-%ED%8F%AC%EB%93%9C-%EC%95%8C%EA%B3%A0%EB%A6%AC%EC%A6%98
https://stalker5217.github.io/algorithm/bellman-ford/
https://ssungkang.tistory.com/entry/Algorithm-%EB%B2%A8%EB%A7%8C%ED%8F%AC%EB%93%9CBellman-Ford-%EC%95%8C%EA%B3%A0%EB%A6%AC%EC%A6%98
https://ratsgo.github.io/data%20structure&algorithm/2017/11/27/bellmanford/
https://deep-learning-study.tistory.com/587

profile
Computer Science!!

8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6월 30일

너무 잘 정리 되어있어서 링크 좀 퍼가겠습니다!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9월 7일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경우에도 음수간선순환이 없다면 최단 경로를 찾을수 있지 않나요?

2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11월 21일

덕분에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월 3일

혹시나 헷갈리실 분들 있어서 적자면,
해당 벨만포드 vs 다익스트라 비교하는 그래프에서는 다익스트라를 통해 1에서 3까지 가는 최단경로가 찾아집니다.
3에서 2로가는 비용이 5인 간선이 추가된다면, 다익스트라가 음수간선에서 통하지 않는 사례가 될것같네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