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FE 데브코스 \_1일차 스코프는 사실 블록 레벨 스코프를 코딩을 하며 많이 겪어봤언터라 대략 이해는 하고있었다. 하지만.. 클로저... 클로저! 이번 기회에 공부해 보자!모든 변수는 스코프(Scope)를 가지며, 변수의 선언 위치에 따라 스코프를
오늘 데브코스에 토스 사의 FE이신 진유림 멘토님께서 깃과 깃허브에 대한 특강을 해주셨다😻(최강 멘토진.. 섭외력 대박..) 실무에서 유용한 깃과 깃허브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좋은 기회인 동시에 중간중간 유림님께서 주니어때 개발자로 일하시며 겪으셨던 다양한 일화들을
이전에 TIL을 토픽주제로 잡다보니 심도있게 다루고 싶은 욕심(?)에 작성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서 토픽주제를 잡고 velog를 작성하는 것은 빈도를 조금 줄이기로 하였다.😇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해 클라이언트 측에서 폼(form, 입출력플랫폼) 객체의 데이터 유
다운 받은 HTML파일을 DOM, CSSOM 트리 구조로 해석, 노드객체 생성한다. DOM 트리, CSSOM 트리가 합쳐진 렌더트리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브라우저에 표시될 것들)각 노드들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계산, 루트노드부터 순회하며 계산된 결과를 픽셀값으로 렌
가상돔은 실제 돔트리를 실제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만든것으로, 필요한 정보만 담아 만들어 준다.돔 수정시 가상돔에서 수정이 이뤄진다.즉, 실제 DOM 문서를 추상화한 개념으로, 변화가 많은 View를 실제 DOM에서 직접 처리하는 방식이 아닌 Virtual Dom과 메모
💡새롭게 알게 된 것 iterable protocol 이터러블 프로토콜은 순회(반복) 가능한 객체를 나타내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for...of 반복문, ...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구조 분해 등과 함께 동작 할 수있다. 아래 ES5,
프로미스(Promise)는 JS에서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이다. JS에서 비동기 처리는 ‘특정 코드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수행하는 자바스크립트의 특성’을 의미한다. 자바스크립트 자체는 단일 스레드 언어이지만, 브라우저나 node.
지난 주 부터 명령형이 아닌 선언형, 특히 함수형으로 코드를 작성하고 데이터를 가공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상태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 (상태가 없어 사이드 이펙트가 없다) 이 낯설긴 했지만, 구조가 단순하여 가독성이 높으며, 다양한 이터러블한 객체들에 사용가능하고,
💡새롭게 알게 된 것 모듈(Module) 이전에 Webpack을 독학으로 사용해보며 webpack이 나오기 전 JS에서 사용되던 기능으로만 알고 있었다. 이번에 Vanilla JS로만 컴포넌트 단위로 웹앱을 구현하게 되었고, 따로 번들러 없이 ES6 모듈(Modu
SPA (single-page application) : 싱글 페이지 어플리케이션SSR (server-side rendering) : 서버 측 렌더링CSR (Client-Side Rendering) : 클라이언트 측 렌더링 현재 vanilla-JS을 배우며 작성하는 코
💡새롭게 알게 된 것 1. Hashbang url에 #을 이용해 처리하는 방식 #은 같은 페이지 내의 요소를 가리킬 때 많이 사용되었다. http://localhost:5000/ http://localhost:5000/#list http://localhost:500
오늘 CSS심화 수업을 해주신 분은 바로....!!! 현재 스타트업 질링스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이신! HEROPY 님이였다!! 🙈🙊🙈그렇다... 내가 처음 독학으로 웹 FE에 뛰어들게 되며 몇 달동안 (인터넷으로^\_\_^) 날 가르쳐주신 그 분.... CS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