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학에서 연속방정식
- 유체역학에서 연속방정식을 해본 적 있지만, 전자기학의 방식대로 전하에 대한 연속방정식을 유도해보겠다.
전하 보존의 법칙
어떤 시스템의 ΔV 영역에 시간에 따른 전하의 축척되는 양을 생각해보자. (the rate of accumulation)
체적 V내의 총 전하량은 전류에 의한 유출량과 부호는 반대고 값은 같을 것이다.
전기장에서 연속방정식은 전기장이 존재하는 공간에 있는 이동전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공간적 분포에 대한 식이다.

정상상태의 전류
- 정상상태이면 전하밀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으므로 다음을 만족한다.
- ∇⋅J=0
어떤 벡터 Field가 Divergenceless이면 그 벡터장을
- solenoidal vector field
- incompressible vector field
- divergence-free vector field
등으로 부른다
- ∇⋅J=∮sJ⋅ds=0
Divergenceless라는 것은 정상상태 전류의 Field Line 또는 Streamline은 그 자체로 돌아오도록 닫혀있다는 것이다.
이를 회로이론에 적용하면
j∑Ij=0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을 나타내는 식이다.
연속방정식의 응용
전자재료(도체/유전체) 내부에 전하가 주입되고 그에 따른 시간변화를 살펴보자.
경계조건은 t0일 때, ρ=ρ0[C/m3]이다.
-
Continuty Equation
** ∇⋅J=−∂t∂ρ
-
Ohm's Law Point Form
** J=σE
-
∇⋅σE=−∂t∂ρ
- ∂t∂ρ+ϵσρ=0
이 편미분 방정식으로부터 얻은 해는 다음과 같다.
- ρ=ρ0exp−(σ/ϵ)t
이 때, τ=(σ/ϵ)를 완화시간(전하 소멸시간)이라고 하고 도체에서는 매우 짧은 시간에 전하가 표면으로 재분배 된다.
우수한 절연체에서는 전하 재분포에 며칠이 걸릴 수도 있다.
- 이전에 다뤘던 도체 내부에서의 ρ=0이 여기서 일관성있음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