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장 | 정자기장 | |
---|---|---|
Source | - 근원 점전하 | - 이동 전하 |
- 점전하: 0차원 | - 전류도선: 1차원 | |
- 정지한 대전 입자 | - Steady 전류의 형태로 이동 | |
방향 | - 방사 방향의 전기장 | - 회전방향의 자기장 |
정전기력 | 자기력 | |
Governing Law | - Coulomb's Law | - Biot-Savart Law |
힘의 방향! | - 인력/척력 | - 인력/척력 |
챙의 전자기학 교과서에서는 새로운 벡터장 성분인 자속밀도 와 그에 다른 자기력 를 정의하고 해당 단원을 시작하지만, 자기장에 대한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자기력을 통하여, 자기장의 세기 를 정의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쿨롱의 법칙과 비슷하게 설명하기 위해
정상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생성을 곧바로 설명한다기 보다
물리학자들의 실험결과로부터 얻어진 두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이용하여 자기력을 먼저 설명하고
자기력으로 부터 합리적으로 보여지도록 자기장의 세기 를 정의한다.
위의 그림과 같이 정상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이 있다.
여러 물리학자 Biot, Savart 등이
두 전류도선(=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가까이 대면 인력과 척력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다.
전류가 같은 방향이면 인력, 다른 방향이면 척력이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그래프
힘에 대해서는
방향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나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쿨롱의 법칙과 마찬가지로 위의 결과들을 일반화하여 정리한 수식은 다음과 같다. 실험적으로 결정한 공식
방향을 인력과 반발력으로 맞추기 위해
를 넣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비례 상수를 더해서 완전한 식으로 만들어주면 다음과 같다.
미소 힘 는 파란색으로 나타나는 시험 전류 도선에 관한 항과 빨간색으로 나타나는 근원 전류 도선에 관한 항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다음으로는 미소 자기장의 세기인 를 정의한다.
Coulomb Force로부터 시험전하에 무관하게 전기장을 정의했던 것 처럼
시험 전류도선과 무관하게 어떤 값을 정해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전류도선의 미소 길이 는 Source Point에 해당하므로 이다.
또한
전체 근원전류도선을 Source Point에 대해 적분하면
The integration is along the current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flow; dl is an
element of length along the w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