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장이 작용하는 공간 내에 존재하는 미소전하 q에 작용하는 힘은
전기력 Fe=qE 가 작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자기력 Fm에 대해 살펴본다.
흐르는 전류에 의해 미소전류도선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이전에 살펴보았다. 이식은
F=μ[ItdLt]×[4πR2IsdLs×aR]
[ItdLt] Units [A⋅m]=[C⋅m/s]
여기서 H는 어떻게든 주어진 값인 것이고,
단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시험전류도선처럼
움직이는 시험전하는 형성된 자기장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m=qv×B
아직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B=μH [Wb/m2]이다.
Wb가 뭔지 모르지만, 단위를 보면 Flux의 형태임을 짐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모두 존재할 때에 시험전하가 받는 힘은 Loretnz Force Equation으로 정리할 수 있다.
F=q(E+v×B)
다음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주어졌을 때 어떤 시험입자의 움직임을 살펴본다.
어떤 아주 전하량이 작은 양전하가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v0=v0ay 의 속도로 입사되었다.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기장과 자기장이 인가되었다.
중력을 무시한다고 가정하면,
1) E=Eaz
2) B=Baz
3) v0=v0ay


v=vz+vx−y 로 나눌 수 있고, 구심가속도에 기여하는 속도는 vx−y이다.
간단하게 v⊥ 으로 나타내면,
원의 중심으로 원점을 옮기면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 v⊥=rω
ω=qB/m
으로 적도록 한다.
또한 전기력에 의한 양전하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자기장에 의한 원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z방향으로만 가속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z 움직임에만 관여) 따라서 양전하에 대해 FBD를 그리고 이로 미분방정식을 풀면.


- 또한 z축에서의 시간에 따른 속도는..

- 최종적으로 모든 속도를 시간에 따라 적분해주면 다음과 같이 위치에 대한 함수를 구할 수 있다.

파이썬으로 양전하의 움직임에 대한 3차원 그래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