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장 3-7 분극에 의한 전위, 등가 전하 밀도

Kipabomb·2024년 8월 26일
0

Electromagnetism

목록 보기
7/17

유전체의 특성은 이전 포스트에서 알아봤다.

분극 유전체에 의한 Electric Potential

전하쌍극자에 의한 전위

  • V(r)=14πϵ0Prr3V(\mathbf{r})=\frac{1}{4\pi\epsilon_0}\frac{\mathbf{P} \cdot \mathbf{r}}{r^3} 이므로,

  • dV(r)=14πϵ0PaRr2dvdV(\mathbf{r})=\frac{1}{4\pi\epsilon_0}\frac{\mathbf{P} \cdot \mathbf{a}_R}{r^2} dv' 이다.

위 식에서 소스 좌표계에 대해 1/R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 (1R)=aRr2\nabla'(\frac{1}{R})=\frac{\mathbf{a}_R}{r^2}

  • 벡터 등가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fA)=fA+Af\nabla'\cdot(f\mathbf{A})=f\nabla'\cdot\mathbf{A}+\mathbf{A}\cdot\nabla'f

  • 어떤 분극벡터 P\mathbf{P}가 주어졌을 때, 전위를 구하는 문제가 있다고 하면, 이는 ρps\rho_{ps}ρp\rho_p를 구하는 문제로 바뀔 수 있다.

  • 즉, Surface Charge Density & Volume Charge Density 을 구한다.

Surface Charge Density ρps\rho_{ps}

  • 교재에서의 설명

nonpolar dielectric에서 elemental surface Δ\Deltas를 생각해본다.
외부 전기장이 가해지면 거리 d로 구속 전하가 멀어진다.
Δ\Deltas를 통과하는 총 전하Δ\DeltaQ는 nqd(Δ\Deltas)이다.

그런데 이 설명이 좀 이해가 안되어서 다른 설명으로 대체한다.
시간의 개념을 추가하여 Flux로 표현하려고 한다.

  • 어떤 면 Δ\Deltas를 Δ\Deltat 동안 통과하는 시간당 전하량을 계산한다.
    이때 면 Δs\Delta s는 외부 전기장 E\mathbf{E} 와 같은 방향으로 가정하고 시작함.


    ΔQ/Δt\Delta Q/\Delta t = 전하의 개수 ×\times 전하량 ×\times 전하의 속도 ×\times Δs\Delta s 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외부 전기장 E\mathbf{E}가 가해지면 전하의 거리는 d가 된다.
    이를 단위시간을 이용하여 속도로 표현하면 d/Δtd/\Delta t가 된다.
    양변에 Δt\Delta t를 소거하면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ΔQ=nqd(Δ\Delta Q= nqd(\Deltas) 이다.

  • 일반적인 경우로 면과 E\mathbf{E}가 수직하지 않는 경우


    ΔQ=nq(dan)(Δ\Delta Q= nq(d\cdot \mathbf{a}_n)(\Deltas)
    ΔQ=nqPan(Δ\Delta Q= nq\mathbf{P}\cdot\mathbf{a}_n(\Deltas)
    ρps=ΔQΔs=Pan\rho_{ps}=\frac{\Delta Q}{\Delta s}=\mathbf{P}\cdot\mathbf{a}_n

> 여기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분극된 유전체는 등가 분극면전하밀도나 등가 분극체적밀도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
열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