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620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J. Hwang·2024년 12월 31일
0

coding test

목록 보기
71/108

문제

(앞부분의 산만하고 문제와 관련없는 포켓몬 상황극은 생략)

오박사 : 그럼 다솜아 이제 진정한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해 도감을 완성시키도록 하여라. 일단 네가 현재 가지고 있는 포켓몬 도감에서 포켓몬의 이름을 보면 포켓몬의 번호를 말하거나, 포켓몬의 번호를 보면 포켓몬의 이름을 말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여라. 나의 시험을 통과하면, 내가 새로 만든 도감을 주도록 하겠네.


입력

첫째 줄에는 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포켓몬의 개수 N이랑 내가 맞춰야 하는 문제의 개수 M이 주어져. N과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데, 자연수가 뭔지는 알지? 모르면 물어봐도 괜찮아. 나는 언제든지 질문에 답해줄 준비가 되어있어.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포켓몬의 번호가 1번인 포켓몬부터 N번에 해당하는 포켓몬까지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들어와. 포켓몬의 이름은 모두 영어로만 이루어져있고, 또, 음...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아참! 일부 포켓몬은 마지막 문자만 대문자일 수도 있어. 포켓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0, 최소 길이는 2야. 그 다음 줄부터 총 M개의 줄에 내가 맞춰야하는 문제가 입력으로 들어와. 문제가 알파벳으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를 말해야 하고, 숫자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해야해. 입력으로 들어오는 숫자는 반드시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고,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는 반드시 도감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만 주어져. 그럼 화이팅!!!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M개의 줄에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해줬으면 좋겠어!!!. 입력으로 숫자가 들어왔다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포켓몬의 이름을, 문자가 들어왔으면 그 포켓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면 돼. 그럼 땡큐~


내 풀이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dict = []
for i in range(n):
    dict.append(input().rstrip())
    
for i in range(m):
    q = input().rstrip()
    try:
        q = int(q)
        print(dict[q-1])
    
    except:
        print(dict.index(q)+1)

처음에는 리스트에 포켓몬 이름을 넣고 찾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심지어 문제를 입력받을 때는 string으로 입력된 숫자를 어떻게 판별할지 모르겠어서 try except 구문으로 처리...하지만 이렇게 구현하니 자꾸만 시간 초과가 떴다.

아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다시 풀이해서 정답을 받은 코드이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dict1 = {}   # num : name
dict2 = {}   # name : num
for i in range(n):
    name = input().rstrip()
    dict1[i+1] = name
    dict2[name] = i+1

    
for i in range(m):
    q = input().rstrip()
    if q.isdigit():
        print(dict1[int(q)])
    else:
        print(dict2[q])

코멘트

평생 기억하기 : 딕셔너리가 리스트보다 시간 복잡도가 적다!!

이번 문제의 경우 딕셔너리의 시간 복잡도는 O(N+M)O(N+M)이지만 리스트는 O(N×M)O(N \times M)의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 이 문제와 비슷한 유형은 딕셔너리를 적극 활용하자!!

그리고 문자열로 입력된 숫자를 판별하는 함수 .isdigit()도 꼭 기억하자.


References

https://www.acmicpc.net/problem/1620
https://wayhome25.github.io/python/2017/06/14/time-complexity/

profile
Let it cod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