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2일차 (DB연결, MVC패턴)

김용진·2023년 9월 21일
0

1. 스프링 컨테이너란(Spring Container)

  •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객체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자바 객채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는 빈(Bean)이라고 명칭한다.

  • 개발자는 객체를 생성하고 소멸할 수 있는데,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 역할을 대신해 준다.
    즉, 제어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객체들 간의 의존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런타임 과정에서 알아서 만들어 준다.

  • 스프링은 실행시 객체들을 담고있는 Container가 있다.

컨테이너에 넣을 빈을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어노테이션이 있다.

2. MemberController

  • 생성자에 @Autowired 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찾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객체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을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 개발자가 직접 주입하는 형식이라면, @Autowired에 의해서 스프링이 주입해 준다.

  • 생성자가 단일생성자에 한해 @Autowire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의존성을 부여한 모습

위 코드는 Controller가 존재하기 위해서 MemberService가 있어야 하기에, 의존성을 직접적으로 부여한코드이다.

3. IoC(제어역전 ,Inversion of Control)

  • 개발자가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호출하는 형태가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전체를 직접 구현하지 않고 자신의 코드를 부분적으로 "끼워넣기"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개발자로 하여금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분야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 프레임워크가 객체의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도 있다.

  • 객체의 의존성을 역전시켜 객체 간에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하여 가독성 및 코드 중복, 유지보수를 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4. POJO

  • Plain Old Java Object, 단순한 자바 오브젝트

  • Pojo란 객체 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한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오브젝트를 말한다.

  • 이러한 POJO에 어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과 기능을 담아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POJO프로그래밍 이라고 할 수 있다.

설명이 매우 간단해 보인다면 이 링크를 클릭하여더 자세한걸 알아보자 https://happyer16.tistory.com/entry/POJOplain-old-java-object%EB%9E%80

5. Component scan

  • Component scan의 대상은 Spring이 scan을 하는 대상이 된다.

6. DI(Dependency Injection)의 3가지 방법

  • Field Injection(필드 주입)
  • Setter Injection(수정자 주입)
  • Constructor Injection(생성자 주입), 현재는 이것을 많이 쓰고있음

여담 Spring Boot에 DB연결

DB 연결 -> DB생성 -> gradle 추가,refresh -> application수정 -> class생성

DB연결, 생성까지는 여태 배워온것을 이용하여 cmd프롬포트창과 Dbeaver를 이용하여 만들어 준다.

gradle은 다음과 같은 명령문을 넣어주자.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implementation group: 'com.oracle.database.jdbc', name: 'ojdbc6', version: '11.2.0.4'

해당 명령문은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com.oracle.jdbc/ojdbc8/12.2.0.1 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application에 위 사진처럼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username, password의 경우 자신이 직접 설정한 DB ID와 PW를 입력해주면 된다.

DTO를 만들어주고,

Repository를 만든 뒤

service java파일을 만들어준다.

@Transactional은 차후에 나와야 할 코드이지만 지금 코드를 재활용하느라 적혀있다.

Repository를 상속받아오고, 의존성을 주입해준 모습이다.

그리고 그 안에 상속받아온것을 바탕으로 명령코드를 짜주면 완성이다.
Controller는 어디다 팔아먹었냐 하시는분이 있을것같다

7. JPA

  • JPA는 기존의 반복 코드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SQL도 JPA가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준다.
  • JPA를 사용하면, SQL과 데이터 중심의 설계에서 객체 중심의 설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다.
  • JPA를 사용하면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gardle부분에 다음과 같은 문장을 넣어 Refresh를 해주자.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적용한 모습

application역시 위와 같이 명령문을 넣어주면 JPA를 사용할 준비가 전부 되었다.

무려 JPA를 사용하면 위에 그 긴 코드가 이런식으로 짧아진다.

잘 사용한다면 좋은 코드이지만, 아직 공부가 부족한 터라 이부분은 더 해봐야 할 것 같다.

8.SOLID

  •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

Spring관련 기술면접때 주요한 부분이므로 기억해두자.

1.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 그 책임이라는 것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 책임은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원칙을 잘 따르는 것이다.

2. OCP :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 변경에는 닫혀있다.

3.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를 믿고 사용하려면, 이 원칙이 필요하다.
- 단순히 컴파일에 성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이야기

4.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 자동차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면, 서로 수정이 되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5.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 쉽게 이야기해서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는 뜻
- 구현체에 의존하면 변경이 아주 어려워 진다.
profile
메모리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