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학습 이론] 2장_강화학습 기초1 : MDP와 벨만 방정식

슥슥·2022년 11월 23일
0
post-thumbnail

2장. MDP와 벨만방정식

강화학습 이전에 "순차적 행동 결정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문제는 MDP로 정의할 수 있고, MDP 문제에서 에이전트가 학습하기 위해서는 가치함수 개념이 사용된다. 이 개념은 벨만 방정식과도 연관된다.

MDP

강화학습은 순차적으로 어떤 행동을 취해야할지에 대한 문제를 푸는 것이다. MDP는 순차적으로 결정해야하는 문제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MDP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

1. 상태 (SS)

SS는 에이전트가 관찰 가능한 상태의 집합이다.
실제 세상에서는 센서로 입력되는 값으로 볼 수 있지만, 학습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태를 정의해줘야한다.

만약 2차원 평면에서 5가지의 상태가 존재한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x1,y1),(x2,y2),(x3,y3),(x4,y4),(x5,y5)}S= \left\{(x_1, y_1),(x_2, y_2),(x_3,y_3),(x_4,y_4),(x_5,y_5)\right\}

5X5 2차원 좌표평면에서는 총 25개의 상태가 존재하고, 각 상태는 (x,y)(x,y)로 이루어진 좌표일 것이다.

S={(1,1),(1,2),(1,3),...,(5,4),(5,5)}S= \left\{(1,1),(1,2),(1,3),...,(5,4),(5,5)\right\}

에이전트는 시간에 따라서 25개의 상태를 탐험하게 되고, 시간이 t일의 상태를 StS_{t} 로 표현한다. 시간 t에서 StS_{t}는 정해져있지 않고, 시간에 따라서 확률적으로 변하는 확률변수이다.

따라서, "시간 t에서 상태 StS_{t}는 어떤 상태 ss이다"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St=sS_{t} = s

2. 행동 (AA)

AA는 에이전트가 상태 StS_{t}에서 할 수 있는 "행동"의 집합이다. 상태와 마찬가지로, AtA_{t}는 확률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확률변수이다. 시간 t에 에이전트가 특정한 행동 aa를 했다면,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At=aA_{t} = a

2차원 평면에서 에이전트가 할 수 있는 행동은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up,down,right,left}A = \left\{up,down, right, left\right\}

즉, 시간 tt에서 상태가 (3,1)이고, At=rightA_{t}=right이면 t+1t+1에서의 상태는 (4,1)이 될 것이다.

3. 보상함수 (r(s,a)r(s,a))

"보상함수" r(s,a)r(s,a)는 에이전트가 학습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로, 외부 환경이 에이전트에게 주는 정보이다. 시간이 tt, 상태가 St=sS_{t}=s, 행동이 At=aA_{t}=a일 때 에이전트가 받을 보상은 다음과 같다.

r(s,a)=E[Rt+1St=s,At=a]r(s,a) = E\left[R_{t+1} | S_{t}=s,A_{t}=a\right]

즉, 보상함수는 시간 tt에서의 상태와 행동을 통해 t+1t+1에서 받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한 기댓값이다.

4. 상태 변환 확률 (PssaP_{ss}^{a})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상태의 변화에는 확률적인 요인이 들어간다. 이 확률을 수치적으로 표현한 것이 "상태 변환 확률" PssaP_{ss'}^{a}이다.

Pssa=P[St+1=sSt=s,At=a]P_{ss'}^{a} = P[S_{t+1}=s | S_{t}=s,A_{t}=a]

이는 상태 ss에서 행동 aa를 취했을 때, 상태 ss'으로 도달할 확률이다. 보상함수와 마찬가지로 상태 변환 확률은 에이전트 외부 환경에서 전달되는 값이다. 상태 변환 함수는 환경의 모델이라고도 불리는데, 에이전트의 행동에 따라 상태 변환 확률을 통해 다음 상태를 알려준다.

5. 할인률 (γ\gamma)

같은 양의 보상이더라도, 현재 받는 것이 가치가 높고 나중에 받을수록 가치가 떨어진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할인율"을 사용한다.
할인율은 미래의 가치를 현재의 가치로 환산함에 따라 할인되는 비율을 뜻하고, 0과 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낸다. 더 먼 미래의 보상일수록 현재에는 더 작은 값으로 받아들인다.

γ[0,1]\gamma \in [0,1]

따라서, 할인률을 고려한 t+kt+k 시점에서 발생하는 가치의 tt시점에서 현재 가치는 다음과 같다.

γk1Rt+k\gamma^{k-1}R_{t+k}

6. 정책(π(as)\pi(a|s))

"정책"은 모든 상태에서 에이전트가 할 행동이다. 상태가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행동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함수의 형태이다.

π(as)=P[At=aSt=s]\pi(a|s)=P[A_t=a|S_t=s]

정책은 한 상태에 대해 한 가지 행동을 출력할 수도 있지만, 확률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특히 학습 과정에서는 다양한 행동을 선택하여 최적의 정책을 찾아야한다.

이렇게 정의된 MDP를 통해 에이전트는 형태 상태에서 앞으로 받을 수 있는 보상을 고려해서 행동을 선택한다. 환경은 에이전트에게 실제 보상과 다음 상태를 알려주고, 이를 토대로 에이전트는 가치함수와 정책을 수정해나간다. 최종적으로는 가장 많은 보상을 받도록 하는 최적의 정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가치함수

1. 가치함수

그렇다면 에이전트는 어떻게 MDP를 통해서 최적 정책을 찾을 수 있을까? 에이전트는 현재 상태에서 앞으로 받을 수 있는 보상을 고려하게 되고, 이 개념이 가치함수이다.
현재 시점 tt로부터 에이전트가 행동을 하여 얻을 수 있는 보상은 다음과 같다.

Rt+1+Rt+2+Rt+3+Rt+4...R_{t+1} + R_{t+2} + R_{t+3} + R_{t+4}...

여기에 할인율 γ\gamma를 고려한 전체 보상인 반환값 GtG_t는 다음과 같다.

Gt=Rt+1+γRt+2+γ2Rt+3+γ3Rt+4...G_t = R_{t+1} + \gamma R_{t+2} + \gamma^2 R_{t+3} + \gamma^3 R_{t+4}...

에이전트와 환경이 유한한 시간동안 상호작용하는 것을 에피소드 라고 말한다. 유한한 시간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마지막 상태에 도달하면 최종 반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총 5번의 에피소드가 발생하면 총 반환값은 다음과 같다.

G1=R2+γR3+γ2R4+γ3R5+γ4R6G2=R3+γR4+γ3R5+γ3R6G3=R4+γ1R5+γ2R6G4=R5+γ1R6G5=R6G_1 = R_2 + \gamma R_3 + \gamma^2 R_4 + \gamma^3 R_5 +\gamma^4 R_6\\ G_2 = R_3 + \gamma R_4 + \gamma^3 R_5 +\gamma^3 R_6\\ G_3 = R_4 + \gamma^1 R_5 +\gamma^2 R_6\\ G_4 = R_5 +\gamma^1 R_6\\ G_5 = R_6

MDP의 구성요소들은 확률변수, 즉 확률적으로 변화하기 대문에 반환값에 대한 기댓값으로 특정 상태 tt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를 표현할 수 있다. 이를 가치함수 v(s)v(s)라고 한다.

v(s)=E[GtSt=s]v(s)=E[G_t|S_t=s]

각 시점마다 얻는 보상은 확률적이기 때문에 반환값 자체는 확률변수지만, 가치함수는 기댓값이기 때문에 특정 값이다.
가치함수의 GtG_t에 위에서 구한 반환값의 식을 대입한 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s)=E[Rt+1+γv(St+1)St=s]v(s)=E[R_{t+1}+\gamma v(S_{t+1})|S_t=s]

해석하자면 현재 상태 ss에서의 가치함수는 다음 단계에서 받는 보상과 다음 단계에서의 가치함수(반환값의 기댓값)의 합과 동일하다.

한편, 에이전트는 현재 상태에서 정책을 고려하여 행동을 선택하고, 그 행동에 따라서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가치함수에서는 정책을 고려해야한다. 정책 π\pi을 고려한 가치함수는 다음과 같다.

vπ(s)=E(π)[Rt+1+γvπ(St+1)St=s]v_\pi(s) = E_(\pi)[R_{t+1} +\gamma v_\pi(S_t+1) | S_t=s]

이렇게 구한 최종 가치함수 식 vπ(s)v_\pi(s)가 바로 벨만 기대 방정식이다. 벨만 기대 방정식은 현재 상태의 가치함수 vπ(s)v_\pi(s)다음 상태에서의 가치함수 vπ(St+1)v_\pi(S_{t+1})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정식이다.

2. 큐함수

위에서 정의한 가치함수상태 가치함수이다. 즉, 어떤 상태가 입력으로 들어왔을 때, 앞으로 받을 수 있는 보상의 합을 출력하는 함수이다. 이를 통해서 어떤 상태에 있는게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상태로 가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다음 상태로 가기 전에 실제로는 에이전트가 선택한 행동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고, 상태 변환 확률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요소를 다 고려하기 위해 각 행동에 대해 가치를 알려주는 함수를 사용한다. 이를 행동 가치 함수라고 하고 간단하게 큐함수라고 한다.

큐함수는 상태와 행동을 동시에 변수로 가지고, qπ(s,a)q_\pi(s,a)로 표현한다. 따라서 큐함수를 통해 가치함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π(s)=aAπ(as)qπ(s,a)v_\pi(s) = \sum_{a \in A}\pi(a | s)q_\pi(s,a)

큐함수는 가치함수처럼 벨만 기대 방정식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데, 조건문에 행동에 대한 변수가 추가된 형태이다.

qπ(s)=Eπ[Rt+1+γqπ(St+1,At+1)St=s,At=a]q_\pi(s) = E_\pi[R_{t+1}+\gamma q_\pi(S_{t+1},A_{t+1}) |S_t=s,A_t=a]

벨만 방정식

1. 벨만 기대 방정식

위에서 정의했던 것 처럼 벨만 기대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vπ(s)=Eπ[Rt+1+γvπ(St+1)St=s]v_\pi(s) = E_{\pi}[R_{t+1} +\gamma v_\pi(S_t+1) | S_t=s]

벨만 방정식의 형태로 보상의 합에 대한 기댓값을 표현하면 변수를 저장하고 재귀함수를 도는 형태이기 때문에 연산에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기댓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벨만 기대 방정식의 형태를 한번 더 바꿔줘야 한다. 기댓값에 사용되는 확률에는 어떤 행동을 할 확률(정책 π(as)\pi(a|s))과 행동을 통해 어떤 상태로 갈 확률 (상태 변환 확률 PssaP_{ss'}^{a})이 있다.

vπ(s)=aAπ(as)(r(s,a)+γsSPssav(s))v_\pi(s) = \sum_{a \in A}\pi(a|s)(r(s,a)+\gamma \sum_{s' \in S}P_{ss'}^{a}v(s'))

이는
상태 ss에서 모든 행동 AA에 대해 행동 aa를 선택할 확률 X (aa를 선택했을 때 얻는 가치 + 할인율 X 모든 상태 SS에 대해 ss'으로 도달할 확률 X ss'에서의 가치 함수)
라고 해석할 수 있다.


2. 벨만 최적 방정식

벨만 기대 방정식을 반복하다보면 현재의 정책을 통해 에이전트가 얻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한 기댓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벨만 기대 방정식이 더이상 업데이트되지 않고, 좌변과 우변이 동일해진다.

vπ(s)=Eπ[Rt+1+γvπ(St+1)St=s]v_\pi(s) = E_{\pi}[R_{t+1} +\gamma v_\pi(S_t+1) | S_t=s]

강화학습의 최종 목표는 최적 정책을 찾는 것이다. 최적의 정책(v(s)v^*(s))은 모든 정책에 대해서 가장 큰 가치함수를 주는 정책이다. 최적 가치함수와 큐함수는 다음과 같다.

v(s)=maxa[vπ(s)]q(s,a)=maxa[qπ(s,a)]v^*(s) = max_a[v_\pi(s)] \\ q^*(s,a) = max_a[q_\pi(s,a)]

가장 큰 가치함수/큐함수를 찾았다면, 최적 정책은 각 상태 ss에서 최적의 큐함수 중에서 가장 큰 큐함수를 가진 행동 aa를 하는 것이다. 최적 정책은 가장 큰 값만을 선택하고 나머지는 선택하지 않는다.

π={1,  if  a=argmaxaAq(s,a)0,  otherwise  \pi^* = \begin{cases} 1, \;if\; a=argmax_{a \in A}q^*(s,a)\\ 0, \;otherwise\; \end{cases}

최적의 가치함수는 최적의 큐함수에서 max인 행동을 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v(s)=maxa[q(s,a)St=s,At=a]v^*(s) = max_a[q^*(s,a) | S_t=s,A_t=a]

큐함수를 가치함수로 표현한 식을 벨만 최적 방정식이라고 한다.

v(s)=maxaE[Rt+1+γv(St+1)St=s,At=a]v^*(s) = max_aE[R_{t+1}+\gamma v^*(S_{t+1})| S_t=s,A_t=a]

가치함수에 대한 벨만 최적 방정식을 큐함수에 대한 벨만 최적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q(s,a)=E[Rt+1+γmaxaq(St+1,a)St=s,At=a]q^*(s,a) = E[R_{t+1}+\gamma max_{a'}q^*(S_{t+1},a')|S_t=s,A_t=a]

최적의 큐함수는 다음 상태에 선택 가능한 행동 중 가장 높은 큐함수 q(St+1,a)q^*(S_{t+1},a')에 할인율을 한번 적용하고 보상 Rt+1R_{t+1}을 더한 값과 같다.

이렇게 정의한 벨만 기대 방정식과 벨만 최적 방정식을 통해 정의된 문제를 계산하는 것이 다이내믹 프로그래밍 (Dynamic Programming)이다.

정리

MDP

순차적 행동 결정 문제의 수학적 정의

  • 상태 : ss
  • 행동 : aa
  • 보상함수 : r(s,a)r(s,a)
  • 상태 변환 확률 : PppaP_{pp'}^a
  • 할인율 : γ\gamma

가치함수

어떤 정책이 더 좋은 정책인지 판단하는 기준
현재 상태 SS로부터 정책을 통해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보상의 합

vπ(s)=Eπ[Rt+1+γvπ(St+1)]v_\pi(s) = E_\pi[R_{t+1} + \gamma v_\pi(S_{t+1})]

보통 선택하는 행동 aa를 선택했을 때의 가치를 나타내는 큐함수 사용

qπ(s)=Eπ[Rt+1+γqπ(St+1,At+1)St=s,At=a]q_\pi(s) = E_\pi[R_{t+1}+\gamma q_\pi(S_{t+1},A_{t+1}) |S_t=s,A_t=a]

벨만 방정식

벨만 방정식 : 현재 상태 StS_t의 가치함수와 다음 상태의 가치함수St+1S_{t+1} 사이의 관계식
벨만 기대 방정식 : 특정 정책을 따를 때 가치함수 사이의 관계식

vπ(s)=Eπ[Rt+1+γvπ(St+1)]v_\pi(s) =E_\pi[R_{t+1}+\gamma v_\pi(S_{t+1})]

최적의 정책은 최적의 가치함수를 선택하도록 하는 정책
벨만 최적 방정식 : 최적의 정책에서 가치함수 사이의 관계식

v(s)=maxaE[Rt+1+γv(St+1)St=s,At=a]v^*(s) = max_aE[R_{t+1}+\gamma v^*(S_{t+1})| S_t=s,A_t=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