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_L01_VisualPerception

Alex·2024년 4월 23일
0

1 라이트 & 일렉트로마그네틱 스펙트럼
2 DIP 사용 예제
3 인간 눈 구조
4 포토리셉터
5 눈에서 이미지 형식
6 밝기 인식
7 비주얼 필드

1 라이트&일렉트로마그네틱(EM) 스펙트럼

빛 : EM웨이브 집합
-EM 웨이브 : 파장 프리퀀시 에너지로 표현

2 DIP사용 예제

감마선
엑스레이
자외선
가시광선
마이크로웨이브
라디오
기타

감마선
엑스레이

자외선
빛 현미경

인공위성 관측

DIP를 사용한 관측

관측 가능 스펙트럼에서 이미지 예제

지진모델
초음파이미지

전자현미경 스캐닝

3 인간 눈의 구조

Retina 망막 : 포토리셉터 포함
Macula 황반
Fovea 중심와 : 황반의 중심
Blind spot 맹점 : 포토리셉터 없음

맹점의 증거

4 포토리셉터 : 광 수용체

cones : 추상세포, 색 감지
rods : 간상세포, 조명 레벨

L콘 : red
M콘 : green
S콘 : blue

L:M:S = 40:20:1

5 눈에서의 이미지 형식

초점거리(초점 중심~ 망막) : 14~17mm
망막의 이미지는 중심와에 주로 포커스됨

나무를 보는 눈의 그래픽적 표현

6 브라이트 감지

브라이트 : 인지된 빛의 강도
HVS : 인간 시각 시스템

마하 밴드 효과 : 점차적으로 대비가 감소하는 띠가 서로 인접해있을 때, 띠의 경계에서 색이 더 진해보이거나 더 밝게 보인다.

동시 대비 : 인지된 밝기는 빛의 강도 자체에 의존하지 않음, 주변 환경에 따라 달리 인식

밝기 인식

7 시각 필드

모노큘러 : 한쪽으로만 봄
바이노큘러 : 양쪽으로 보았을 때 교집합
토탈 : 양쪽으로 보았을 때 합집합

색 인지는 중심 필드에서만 가능

3 인간 눈 구조 - 망막,황반,중심와
4 포토리셉터 - 추상세포&간상세포 , 컬러 센서티버티
6 밝기 인식 - 밝기 적응 & 감소
7 비주얼 필드 - 모노큘러, 바이노큘러, 토탈

profile
Engineering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