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관련 영상에서 한 클라우드 엔지니어가 하는 말이 "중요한 것은 실제 경험, AWS 서비스들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떻게 통합되어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것, 그리고 올바른 아키텍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 이라고 강조했던 것을 봤습니다.
해당 영상에선 단순히 서비스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와 더 큰 그림을 설명하고 실제적인 통합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큰 그림을 파악하는데 너무 큰 도움이 된 것같아 해당 영상을 기반으로 정리하는 글을 올려봅니다!
DNS (도메인 이름 시스템): 사람들은 IP 주소를 기억하는 대신 도메인 이름(예: google.com)을 사용합니다. DNS는 이 이름들을 IP 주소로 변환합니다.AWS 서비스: Route 53은 이러한 변환을 처리하는 AWS의 DNS 서비스입니다.데이터 전송 (TCP/IP): 데이터는 큰 덩어리 하나로 전송되지 않고, 작은 패킷(packet)으로 나뉘어 전송됩니다.AWS 네트워킹 (VPC):VPC (Virtual Private Cloud): AWS 클라우드 내의 사용자 전용 가상 네트워크 공간입니다. 논리적으로 격리됩니다.
서브넷(Subnet): VPC는 서브넷이라는 섹션으로 나뉩니다.
퍼블릭 서브넷(Public Subnet): 웹 서버/EC2 인스턴스와 같이 여기에 있는 리소스는 인터넷과 직접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게이트웨이(Internet Gateway)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며, 보안에 신중해야 합니다.
프라이빗 서브넷(Private Subnet):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여기에 있는 리소스는 인터넷에서 직접 들어오거나 나가는 경로가 없어 더 안전합니다.
NAT 게이트웨이(NAT Gateway):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하며, 프라이빗 서브넷의 리소스가 인터넷으로부터의 수신 연결은 허용하지 않으면서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는 연결(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을 시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네트워크 보안 (심층 방어 - Defense in Depth):네트워크 ACL (NACLs): 전체 서브넷에 대한 방화벽 역할을 합니다. 규칙에 따라 트래픽을 명시적으로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 상태 비저장(stateless)입니다.
보안 그룹 (Security Groups - SGs): 개별 리소스(예: EC2 인스턴스)에 대한 방화벽 역할을 합니다. 상태 저장(stateful)이며 트래픽을 허용만 할 수 있습니다 (거부는 암묵적).
이들은 여러 계층의 보안 제어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Route 53이 주소를 IP로 변환합니다.
정적 콘텐츠(이미지, JS, CSS)는 AWS S3(객체 스토리지)에 저장됩니다.
CloudFront(AWS의 CDN)는 S3 콘텐츠의 사본을 전 세계 데이터 센터(엣지 로케이션)에 캐시하여 사용자 위치에 따라 콘텐츠를 더 빠르게 전달합니다. AWS는 450개 이상의 엣지 로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도 CloudFront(AWS CDN) 사용).
동적 요청은 Elastic Load Balancer (ELB)로 전달됩니다.
ELB는 주로 퍼블릭 서브넷에 위치한 여러 EC2 인스턴스(웹 서버)에 걸쳐 트래픽을 분산합니다.
EC2 인스턴스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서브넷의 리소스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을 위해 퍼블릭 서브넷의 NAT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NACL은 서브넷 수준에서, 보안 그룹은 인스턴스 수준에서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AWS에서 백엔드 작업을 처리하는 세 가지 주요 방법:
API Gateway & Lambda):사용자는 기본 서버를 관리하지 않고 AWS가 처리합니다.
API Gateway는 접수처처럼 요청을 받아 Lambda 함수로 전달합니다.
Lambda 함수는 코드(예: 장바구니에 항목 추가, DB 업데이트)를 실행하고, 필요할 때만 실행된 후 종료됩니다.
유휴 시간이 아닌 실행 시간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예측 불가능한 워크로드나 특정 작업(예: 이미지 처리)에 탁월합니다.
인프라가 아닌 기능 출시에 집중하는 개발팀에 좋습니다.

EC2 (Elastic Cloud Compute) & 가상화: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술입니다. 가상화는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가상 서버(EC2 인스턴스)로 분할합니다.
OS, 설치된 소프트웨어, 보안 설정에 대한 완전한 제어를 제공합니다.
"Elastic(탄력적)"은 필요에 따라 확장/축소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정 구성, 레거시 소프트웨어 또는 일관된 성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단점: OS 업데이트, 패치, 보안 구성, 모니터링 및 용량 관리를 사용자가 책임져야 합니다.
컨테이너와 ECS (Elastic Container Service):서버리스와 EC2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모든 종속성(언어, 라이브러리, 구성 파일)을 표준화된 컨테이너로 패키징하여 흔히들 겪는 "내 컴퓨터에서는 됐는데" 문제를 해결합니다.
컨테이너는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일관되게 실행됩니다.
ECS는 대규모 컨테이너 실행의 복잡성(시작, 중지, 상태 확인, 자동 교체)을 관리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아키텍처(큰 앱을 작고 독립적인 부분으로 나누는 것)에 매우 적합합니다. 다른 부분의 독립적인 업데이트 및 확장이 가능합니다(예: 세일 기간 동안 상품 카탈로그 컨테이너 확장).
Lambda보다 더 많은 제어를 제공하지만 EC2보다 인프라 관리가 적습니다.


객체 스토리지 (S3):데이터베이스 (Database):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이용한 SQL 데이터베이스:SQL(구조화된 쿼리 언어)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시스템: MySQL, PostgreSQL.RDS는 관리형 서비스입니다: AWS가 백업, 보안 패치, 확장, 원활한 운영을 처리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DynamoDB를 이용한 NoSQL 데이터베이스:AWS의 NoSQL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속도와 대규모 확장을 위해 구축되었습니다.
단일 자릿수 밀리초 응답 시간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엄격한 테이블/스키마를 사용하지 않고 더 유연한 데이터 구조를 가집니다.
매우 빠른 액세스가 필요하거나 관계형 모델에 잘 맞지 않는 데이터(예: 사용자 세션, 실시간 기능 - 배달 기사 위치 추적)에 탁월합니다.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 많은 최신 앱은 핵심 관계형 데이터에는 RDS를, 고속/유연한 데이터에는 DynamoDB를 함께 사용합니다.

AI/ML은 최신 동적 애플리케이션(지능형 결정, 개인화, 자동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엔지니어에게 AI 이해는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AWS는 주요 서비스를 통해 AI 통합을 더 쉽게 만듭니다:
Amazon Bedrock: 단일 API를 통해 사전 구축된 최첨단 AI 모델(Anthropic, Meta 등)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고급 AI를 사용하는 지름길입니다.RAG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Bedrock 모델이 문맥에 맞는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예: 제품 정보, FAQ)에서 실시간으로 특정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합니다. 예: 회사 데이터를 활용한 챗봇 구축.
데이터는 안전하게 사용자의 AWS 환경 내에 유지됩니다.

Amazon SageMaker: 데이터 과학자 및 ML 엔지니어가 처음부터 자신만의 맞춤형 머신러닝 모델을 구축, 훈련, 배포할 수 있는 완전한 MLOps 플랫폼("작업장")입니다.전체 ML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세분화된 제어를 제공합니다.
사용 사례: 사용자 행동 예측, 사기 탐지, 제품 추천.
실시간 엔드포인트 배포 또는 배치 처리(예: 보고서 생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S 아키텍처(데이터베이스, 컴퓨팅)와 원활하게 통합됩니다.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클라우드에 구축되는 모든 것의 기본입니다.
보안은 나중에 고려할 사항이 아니라 처음부터 설계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VPC: 네트워크 격리.IAM (Identity & Access Management): 누가 무엇에 접근할 수 있는지 제어합니다.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 기반: 사용자/서비스에 필요한 정확한 권한만 부여하고 그 이상은 부여하지 않습니다.Lambda 함수는 특정 Bedrock 모델에만 접근 가능).
GuardDuty: 위협 탐지.KMS (Key Management Service): 암호화 키 관리.Shield &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DDoS와 같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VPC, 서브넷, NACL, Security Group, IAM 등이 함께 작동하는 계층적 보안 접근 방식입니다.프로덕션 환경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CloudWatch: AWS의 주요 모니터링 및 관찰 가능성 서비스입니다.AWS 서비스(EC2, Lambda, DB, AI 모델)에서 운영 데이터(성능 지표, 로그, 이벤트)를 수집합니다.
CloudTrail: AWS의 감사 서비스입니다.
CloudWatch와 CloudTrail은 서로 보완하며 가시성(모니터링)과 책임성(감사)을 제공합니다.
내가 정리한 영상의 전반적인 메시지는 핵심 AWS 서비스(네트워킹,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AI/ML, 보안, 모니터링)가 어떻게 작동하고 통합되어 실제 환경에서 확장 가능하고 안전하며 신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구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론적으로, 아키텍처 의사 결정 능력 이해가 핵심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