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14
p.104
- 개념적 모델링 : 업무 분석 단계
- 논리적 모델링 : 업무 분석의 후반부와 시스템 설계의 전반부
- 물리적 모델링 : 시스템 설계의 후반부
- 이 분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 실선 : 부모 테이블의 PK가 자식 테이블의 PK가 되는 경우
- 점선 : 부모 테이블의 PK가 자식 테이블의 일반 속성이 되는 경우로 부모 테이블에 DATA가 없어도 자식 테이블에 DATA가 생길 수 있다
- 즉, 실선은 로그인하고 제품 구매하기, 점선은 비 로그인하고 제품 구매 같은 느낌이다
- 1대1, 1대N ( 단, N은 무조건 2개 이상 ) , 1대N ( 단, N은 무조건 1개 이상) 관계를 의미한다
- 0 OR 1 , N이 0개 이상을 의미한다
p.115
- 간단한 클라우드 공간에서 필요한 인스턴스 만들기
사용자 테이블
id ( 사용자별로 동일해서는 안된다 ) , password, name, addr, 휴대폰 번호
Host 테이블 ( 인스턴스가 배치되는 물리 서버 )
hostname ( seoul_zone_a_rack13_001 ) , hostip, cpu, ram_size
인스턴스
instancename, id ( 사용자 id ) , hostname ( 인스턴스가 배치되는 물리 서버의 이름 ) , flavor ( m1.small , m1.micro ... ) , instanceip ( 사설 Ip )
Cloud 서비스 환경
-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가 테이블에 저장될 때 인스턴스에 대한 ID는 서비스해주는 서버에서 정해준다. 이 정보에는 어디 ZONE인지, 어디 SERVER인지, 어느 IP인지, CPU / RAM / DISK는 얼마나 사용하는지가 들어있으며 인스턴스 생성시 자동으로 DB에 저장된다
- 인스턴스의 이름은 중복되면 안되며, PK로 사용된다
- TABLE 관계는 다음과 같이 될 것이다
- Cloud의 DB에는 다양한 Table이 있다
실습을 위한 DB를 만들고, DATA를 저장하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테이블 이름에 대소문자를 잘 구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