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플리케이션 api를 개발하면서 받은 스트레스보다 인프라 구축하면서 받은 스트레스가 더 컸다. 내가 인프라 관련 지식이 정말 부족하구나, 체득이 잘 안됐구나를 정말 뼈저리게 느꼈다. 결국에 성공을 하긴 했지만 다른 분들의 도움이 없었으면 지
📢 Ubuntu 서버 위에 인프라 구축하기 2단계 이 글에서는 "2단계 : Docker 컨테이너를 통해 구축하기" 에 해당하는 과정을 진행해보겠다. ✅ 흐름 1. 도커 설치 2. 도커 이미지 빌드 3. 도커 컨테이너 실행 4. 도커 이미지를 도커 허브에 업로드
이번 글에서는 "Ubuntu 서버 위에 인프라 구축하기"의 마지막 단계인 "3단계 : docker-compose를 통해 구축하기" 과정을 진행해보겠다.1\. docker-compoes 세팅2\. docker-compose.yml 파일 작성3\. docker-compos
EC2에 만들어둔 프로젝트 어플리케이션을 RDS DB와 연결해서 컨테이너로 올리는 실습을 해볼 것이다. 근데 이제 GitHub Actions를 통해 CI/CD를 곁들인.RDS 인스턴스 생성EC2 생성 후 환경 세팅GitHub에 secrets 변수 설정워크플로우 yml
Prometheus 같은 모니터링 툴 부분 수업은 들으면서 잘 와닿지가 않았다. 그래서 크게 흥미도 못 느끼고 완전히 습득도 안된 느낌이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서 다른 팀원분과 모니터링을 구상하면서 흐름을 좀 알게된 것 같아 글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일단 큰 흐름은
🔥 AWS SAA-C03 자격증 시험 후기 SAA-C03 자격증 준비 과정과 시험 후기를 간단히 적어보려 한다. 우선 AWS SAA-CO3의 정식 명칭은 AWS Certificated Solutions Architect-Associate이다. 초기 계획 유데미 강
🖥️ 가상화, 도커, 쿠버네티스 > 도커, 쿠버네티스를 활용해 서비스는 배포해봤지만, 막상 도커랑 쿠버네티스에 대해 설명해보라는 질문에는 명확히 답하지 못할 것 같아서 관련 영상과 서적을 참고해서 이론적인 이해를 보완하고자 한다. 💭 가상화 Virtualizat
🐋 도커 Docker, 더 자세하게 > 이전 글에서 도커의 탄생 배경과 기능, 구성 요소에 대해 간단하게 작성했지만, 좀 더 자세한 정리를 위해 추가 글을 작성한다. 도커란?
이 아키텍처의 흐름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1\. CI/CD 파이프라인개발자가 GitHub에 코드를 push하면, GitHub Actions의 CI 파이프라인이 트리거된다.어플리케이션 코드를 기반으로 컨테이너 이미지를 빌드하고, ECR에 업로드한다.ArgoCD는 Gi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의 개념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해 정리해볼 것이다.쿠버네티스 클러스터란 작동 중인 쿠버네티스 배포이다. 클러스터는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이루어져있다.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의 유기적인 통신을 위해 CNI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이
저번 글에서 어떤 오브젝트가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Service(서비스) 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뤄보고, 각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간단한 실습도 함께 진행해볼 예정이다.서비스(Service) 는 클러스터 내부 또는 외부의 클라이언트와 파드
이번 글에서는 이전에 다룬 Kubernetes 서비스(Service)에 이어, Ingress의 개념과 구조, 그리고 클라우드 및 로컬 환경에서의 동작 방식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Ingress는 Kubernetes 클러스터 외부에서 내부 서비스(Service)에 접근할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볼륨의 세 가지 유형인 emptyDir, HostPath, PersistentVolume(PV)에 대해 알아보고 간단한 실습까지 진행해볼 것이다.쿠버네티에서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비영속적이다. 파드가 삭제되거나 재실행되면 기존 컨테이너
🔐 EC2 Bastion 서버에서 kubectl로 EKS 클러스터 접속하기 ❓ kubectl 이 EKS 클러스터에 접근하려면? > - kubectl 은 ~/.kube/config(kubeconfig) 파일을 참고해 클러스터에 접근한다. 이 설정 파일은 aws ek
🖱️Terraform 실행 흐름과 상태 관리 : .tfstate와 S3 + DynamoDB 백엔드 적용하기 > Terraform을 공부하면서 리소스 상태의 흐름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방법의 중요성을 느꼈다. 이번 글에서는 Terraform이 리소스를 어떻게 적용하는
이전에 ALB Controller 등을 EKS에 설치하면서 서비스 어카운트와 IRSA 등을 사용한 적이 있다. 그때도 '이게 정확히 뭐지?' 하면서 찾아보았을 테지만, 매번 이 개념을 다시 접할 때마다 잘 기억이 나지 않아 계속해서 다시 찾아보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에
🖇️ EBS CSI Driver 설치 & 트러블 슈팅 정리 이전 글 Kubernetes ServiceAccount와 IRSA : EKS에서의 권한 관리 에서 EBS CSI Driver를 잠깐 설치해봤는데 이때 발생한 트러블 슈팅 과정을 정리해보려 한다. 설치 과정
ALB Controller를 설치하고 트러블 슈팅하면서 배운 것들에 대해 기록해보려 한다.Helm을 사용해서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Helm 프로바이더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쿠버네티스 프로바이더와 비슷하게 EKS 정보를 받아 연결해주면 된다.이후의 ALB Control
테라폼으로 ALB Controller 설치 & 트러블슈팅 과정 기록에 이어서 ArgoCD를 설치하고 트러블 슈팅하면서 배운 것들에 대해 기록해보려 한다. 원래 ALB Controller랑 같이 적으려 했는데 ACM 인증서 적용해서 만드는 것까지 포함해서 적으려니 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