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 : 고정된 절댓값em : 동일 요소 or 부모 element의 font-size 기준rem : 최상위 <html> 태그의 font-size 기준반응형 웹에선 rem의 사용이 적절하다고 생각.vw : viewport의 넓이를 100vw로 삼아 재단하는 가로 기
선언 : var Name의 단계, scope가 참조할 대상 생성초기화 : 메모리에 변수 저장에 대한 공간 확보 (default = undefined)할당 : var Name = 'lookin_min'; 변수에 대한 값 할당 단계객체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함수, 객체 대
이벤트 흐름 : 캡처링 단계 → 타깃 단계 → 버블링 단계캡처링 : 최상위 조상부터 해당 요소까지 이벤트 전파 과정addEventListener의 capture option이 true 일 때, 이벤트를 잡아낼 수 있음버블링 : 해당 요소부터 최상단 조상까지 부모 요소를
정의되는 동시에 실행되는 함수소괄호로 함수를 감싸서 실행하는 문법을 사용불필요한 전역 변수 생성의 감소, private한 변수 가능Call Stack : 코드가 실행되면서 생성되는 실행 컨텍스트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변수 식별자, Scope chain 및 this 관리,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불러오는 과정에선 렌더링 엔진이 사용된다.렌더링 엔진 : HTML, CSS, JS와 같은 웹 페이지 구성 요소들을 파싱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브라우저 렌더링 원리는 렌더링 엔진, 렌더 트리, 레이아웃, 페인팅으로 구성된다.<1> 렌더링 엔
React는 UI를 만들기 위한 JS 라이브러리React는 상태 변화에 따른 UI 변경점을 결정하기 위해 재조정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Virtual DOM을 통해 이를 구현React16 부터는 React Fiber 엔진을 통해 이를 정비Virtual DOM : Reac
(프론트엔드 직무를 희망하면서 SQL 관련 질문을 받아볼 경우는 많진 않지만, 웹 개발자 직무를 희망하면서 모르면 아쉬울 부분이다.)실시간 접근성지속적인 변화동시 공용내용에 의한 참조
(프론트엔드 직무를 희망하면서 AWS 관련 질문을 받아볼 경우는 많진 않지만, 웹 개발자 직무를 희망하면서 모르면 아쉬울 부분이다.)AWS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서버용 하나의 컴퓨터를 임대한다고 생각AWS가 제공하는 URL(Public DNS)를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취준에서 첫 대기업 최합을 했다.SW Engineering 직무로 들어가게 되었다.뭔가 생각없이 살다가 합격한 느낌여튼 전형 복기하면서 후기 남겨보겠다.쓸 때는 이정도면 무난하지 하면서 썼는데 면접 준비하면서 다시 보니까 최악의 자소서였다.나는
약 8개월 간의 취준 여정을 마치고,서울우유협동조합 IT 직무로 입사하였다.분명 Front-End를 위주로 공부하다가 뜬금없이 뭔 서울우유냐 하겠지만나도 뜬금없었다.일단 진짜로 끝까지 붙을 줄 몰랐고,여기를 붙어서 갈 줄도 몰랐다.최종에 타 회사들 면접이 같이 겹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