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검정(hypothesis Test) 가설검정이란, 주어진 가설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수치적으로 확인하는 프로세스. 모집단의 실제값에 대한 sample의 통계치를 사용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아닌지 판정한다. 👉귀무가설(Null Hypothesis, H0) :
두 집단 간의 평균을 비교하는 모수적 통계방법 (표본이 정규성, 등분산성, 독립성 등을 만족할때 적용가능)귀무 가설 (Null Hypothesis) 를 설정 ( 모집단 평균 = 표본의 평균 )대안 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를 설정 ( 모집단 평
범주형(Categorical) 데이터 변수간의 관측값과 기댓값이 의미있게 다른지의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사용, 표본집단의 '분포' 비교카이제곱검정은 크게 두가지의 다른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검정법이다.적합도 검정(goodness-of-fit test) : 관
신뢰구간이란, 통계적 추론을 통해 예측되는 범위 즉, 시행한 가설검정이 통계적 의미를 갖는 범위를 말한다.공식: $$\\bar {x} \\pm {t \\cdot {s \\over \\sqrt{n} } }$$ (X'은 평균, $${t \\cdot
특정한 확률 변수에 대해 모든 가능한 이벤트의 총 확률은 1이다.$P(B)$일 때 $P(A)$일 조건부 확률:$$P(A|B) = {P(A \\cap B) \\over P(B)}$$베이즈 정리란, 사전확률(Prior)을 바탕으로 사후확률(Updated)을 얻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