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function):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코드의 집합이라고 정의. 다른말로메소드,연산,오퍼레이션 이라고도 함.
함수는 함수의 이름 + 무언가를 입력하는 칸으로 이루어진다.
f(x)에서 함수의 이름은 f이고 무언가를 입력하는 부분은(x) 즉,괄호로 둘러쌓인 부분이에요.
f(x)=2x+3에서f(1)의값은 5.
여기서 1처럼 함수에 입력하는 값을 인자라고 부른다.
함수는 인자를 여러개 가질 수 있다. ex. max(x,y)
인자는 정해진 형태를 가지기도 한다. ex. value(문자)에 value(1)을 사용하면 에러난다.
함수를 사용할 때는 인자를 몇 개를 입력받는지, 어떤 형태로 입력받는지를 알아야 한다.
인자의 대표적인 형태로 숫자와 문자가 있는데 문자는 꼭 쌍/단따옴표로 둘러 입력해야 함.
함수를 사용하고 난 뒤에는 항상 ; 을 붙혀줘야 하는데 이는 명령어 한 줄의 입력이 끝났다. 라는 뜻.
alert 인자를 하나 가지는 함수. 안에 쓰고 싶은 말을 쓰면 웹문서가 열렸을 때, 그 내용을 알림창으로 보여준다.
JavaScript함수는 a태그와 함께 쓸 수도 있다.
a태그의 href속성에 javascript:함수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
자세히 보면"javascript:alert('신기하다!');"라고되어있는데,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에 주목.
쌍따옴표는 전체 내용을 둘러싸기 위해 사용됐고, 단따옴표는 신기하다라는 부분만을 둘러싸기 위해사용.
<!-- javascript-->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head>
<body>
<a href="javascript:alert('신기하다!');">눌러봐</a>
</body>
</html>
결과: 눌러봐라는 하이퍼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javascript의 alert함수가 발동되며 지정한 메세지가 출력
JavaScript에서는 이미 만들어져있는 함수(내장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직접함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음.
함수 만드는 법
1. function 이라고 쓰기
2. 원하는 함수의 이름을 쓰기
3. 인자의 개수를 적기
4. { 와 } (중괄호) 둘러 쌓은 후, 안에 명령어들을 입력하기
<!-- javascript-->
<html>
<head>
<title>javascript 공부</title>
</head>
<body>
<script>
function test(a, b){
alert(a);
alert(b);
}
</script>
<a href ="javascript:test('신기하다','우와');">눌러봐</a>
</body>
</html>
결과: 신기하다!라는메세지와우와!라는메세지가연속적으로출력
리턴:함수가 실행결과로서 어떤 결과값을 반환하면 그걸 리턴한다이라고 표현
<!-- javascript-->
<html>
<head>
<title>javascript</title>
</head>
<body>
<script>
function test(){
alert( testing("안뇽") );
}
function testing(a){
return a;
}
</script>
<a href ="javascript:test();">눌러봐</a>
</body>
</html>
test함수는 testing함수를 실행하고, 반환된 값을 alert를 이용해 메세지를 띄움.
만약,testing함수에 return이라는 것이 없다면 아무것도 뜨지않음.
testing(a){return a;
-> 방금 인자로 받은 "안뇽"이라는 글씨를 return
return받은 "안뇽"이라는 값을 test함수에서 alert를 통해 출력
세상에는 리턴 값이 있는 함수도 많고, 리턴값이 없는 함수도 정말 많으니 주의해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