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함페이지 11월에 시작했던 IT대학 사물함 예약 웹사이트 프로젝트가 끝났다. 이번주에 실제로 it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청을 진행했고, 큰 문제없이 신청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꼈던 점, 배운 점을 정리해보고 개선할 점을 찾아보려한다.
우리 단과대학(IT대학)에서는 매년 개인 사물함 신청을 할 때에 사용하는 웹이 있었는데, 어느 선배가 몇년전에 개발한 것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중이었다. 비개발자인 학생회 집행부가 매번 서버를 가동하고 운영하기에도 어려워보였었다. 그런데 해당 웹의 파일과 서버가 소실되어
그래커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로컬 환경에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프로젝트 코드를 만들다보니 다른 팀원들이 테스트를 해야할 때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배포를 위해서도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야할 필요성을 느꼈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AWS의 RDS(
오늘은 저번에 만든 프로젝트 (링크)를 배포하기 위해서 EC2 를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공부해보았다!콘솔에 익숙해지려하지만 도커 이미지 라던지...ngnix라던지 EC2를 배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많은 것들이 있더라.하지만 당장에 익숙한 툴을 이용해서 EC2를 사용할 수
학교 학부에서 주최하는 소프트웨어 공모전에 지난 6개월간(학기 중에는 작업을 못하다 싶이 했으니...사실상 3개월..?)작업한 GRACURRI를 출품했다.그래커리 깃허브대회의 후기와 만든 작품에 대한 설명을 이렇게 velog에 써보고, 아쉬웠던 점과 보완해야 할 점을
거진 2년만에 백준에서 문제를 풀었다.문제 해결과정보다는, 백준의 코드 제출 및 채점방식에 애를 먹었다.백준에서는 input값이 사용자 입력으로 주어지고, 출력 또한 print해주는 방식으로 해야한다.반면 프로그래머스에서는 주어진 함수로 input값이 매개변수로 입력되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html과 css , javascript를 이용해서 웹 호스팅을 하고자 하였다!node.js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 중인데, 수강중이던 강의에서는 templete을 이용해 html 문서 내용을 구성하였어서 이미 만들어 놓은 웹 문서를 어떻게
사용 알고리즘: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 노드까지 합승할떄까지의 요금과, 택시에서 내려 각자의 집까지 갈 떄의 최저비용(최단거리)를 합해가며 비교해주는 문제이다.문제 명세 참고:https://programmers.co.kr/lea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