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서울42 할때 다들 git을 알고 있었는데
그때 나만. 진짜 나만 git의 존재를 처음 알고 주변 사람들이 오우. 했던 반응이 있어서 정말.. 다시는 이런 경험을 하고 싶이 않아서 미래의 나를 위해 포스팅 작성
출처 : https://blog.naver.com/goottjob/223057720837
이다. 하하 쓰기귀찬아서그냥 다른블로그 캡쳐함 아무튼~ 그렇다.
그러니까 .. 대충 구글 스프레드 시트라고 생각하묜 편함 (다르긴하겠지만)
중요한건 이게아님.왜냐? 우리가 사람들끼리 말할때는 github 을 의미할때가 더 많을테니까!!!!!
사람들끼리 무언가 개발하다보면 분명 코드를 서로 보여줘야하는 일이 생길 것이다. 아니면 내가 개인 컴퓨터로 작업을 하고 그걸 다른곳에 옮겨야 하는 일이 생겼을때 어떻게 해야할까? 뭐.. 짧은 코드라면 카톡이라던가 ㅋㅋ 이런 블로그라든가 메모장에 저장에서 복사 붙여넣기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만약.. 코드가 100줄이 넘어간다면? 그렇게 붙여넣기를 하기엔 양이 너무 무식하게 길다면? 그럴때 github을 사용하는 것이다. 내가 작성한 코드를 github에 올리고 아무대서나 언제나 다운 받을수 있게 도와주는 플랫폼인 것이다!!!!!
github 을 사용하기전에!! 컴퓨터에 git을 먼저 설치해줘야한다.
https://git-scm.com/
요기서 자기 운영체제에 맞는 걸로 설치하면 된다.
근데개발에서의맥은진짜스레기가맞흠윈도우쓰세요
맥은 윈도우와 다르게 설치 방법이 조금 다른데 먼저 homebrew라는 놈을 설치해줘야 한다!!
저기 써있는 홈브류를 누른다 그러면
저 복사버튼을 눌러서 주소를 다운로드 링크를 복사해줌
저걸 터미널에 붙여넣기 하면 된다.
하... 그다음에 잘 설치됐는지 확인하면 되는데
명령어를 까먹음 구글에 검색하면 암튼 나온다 ㅎ
https://github.com/
깃헙 홈페이지 가서 가입하고(영어추천)
레파지토리 선택
새로운거 만들어야하면 아무튼ㅇㅇ 걍 과제나 프로젝트마다 만들어주고
이름이랑 비공개 공개로 선택
만든다음
이제 터미널 연결해줘야겠죠?
mame@myamme-ui-MacBookAir ~ % cd Desktop //cd 열기
mame@myamme-ui-MacBookAir Desktop % mkdir github //mkdir 디렉토리 만들기
mame@myamme-ui-MacBookAir Desktop % cd github
mame@myamme-ui-MacBookAir github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mame@myamme-ui-MacBookAir github %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헙이름"
mame@myamme-ui-MacBookAir github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mame@myamme-ui-MacBookAir github % git config --global --list
init.defaultbranch=main
user.name=//내이름작성한거뜸 여기선 삭제함
user.email= // 내 이메일 작성한거 뜸 여기선 삭제함
이렇게 제대로 나오면 굿!! 그럼 이제 연결해주려면
git clone //주소입력
깃 클론으로 아까 복사한 레파지토리 주소 올려주면 저장소 연결 끝!!
git status //파일 상태 확인해주고 처음엔 비어있으니까 깨끗하다고 뜸
git add
git commit -m " " //커밋할떄 메세지 넣을수잇음 ㅇㅇ 넣자
git push
하면 이제 내가 아까 만든 레파지토리에 내 코드가 올라간다!!
git pull //깃헙 홈페이지에 가져오는 작업
풀은 어디서?? 내가 관리하고잇는 파일(래파짓토리 폴더) 안에서 풀해야댐!!!!
하하 그러면 1일차 끝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