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프로젝트는 기능을 구현해 나가는 과정 코드 작성 스타일 문제점을 만났을 때 해결 방법 문서를 작성하는 스타일 들을 중점적으로 봐주세요!
그래 전역에서 예외 처리하는거 @ControllerAdvice, @RestControllerAdvice쓰는거 알겠어. 그럼 넌 뭘 예외처리 할건데?회사에서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그냥 아무생각없이 처리했는데 바닥부터 내가 만드니 예외처리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스터디 인증 애플리케이션 컨셉 회원가입시 포인트를 제공받는다. 사용자는 포인트를 사용해서 스터디를 참여할 수 있고 만약 인증 참여하지 않는다면 포인트를 돌려받지 못하고 스터디 방에서 탈퇴 당한다. 스터디는 매달 1일에 시작하고 말일에 끝난다. 말일에 살아남은 회원들은
멀티 모듈은 두 번째 회사에서 처음 알게 되었다. 이를 내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려고 한다. 모듈은 개별로 개발, 빌드, 테스트, 배포가 가능해야한다.이러한 모듈을 여러 개 모아놓은 형태내가 체감상 느낄 수 있는 장점은 아래 두 가지다.중복되는 domain로직 관리
스프링 시큐리티를 활용하여 인증, 인가를 구현하였다. 진행한 과정, 고민한 것들을 기록해 보려한다. 크게 보면인증(Authentication)인가(Authorization)accesss token과 refresh token의 이해와 사용예외 처리현재 나의 프로젝트에서
포인트 발급 및 사용 시 그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아야 한다.포인트 발급 및 사용은 비동기로 처리한다.나는 Kafka를 선택했다.비동기 처리 가능브로커 서버를 여러 개 만들어 레플리카 설정 값을 2이상으로 둔다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보관 가능위와 같은 이유로 선택했다.
스프링 캐시 + 스프링 레디스의 조합으로 스터디방 목록을 캐시 해보겠다.의존성을 추가한다.적용
스터디방 참여 인원의 동시성 제어
카프카 사용에만 초점을 맞추다보니 잘못된 상황에서의 카프카 사용인 것을 깨달았다.처음 설계를 할 때 내가 카프카를 사용한 이유는 2가지 였다.많은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파티션과 컨슈머 서버를 늘려 처리량을 늘릴 수 있음포인트에 대한 안전한 처리하지만 면접, 스터디를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