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6-3. 정규/자기수반연산자

milkbuttercheese·2023년 1월 14일
0

AI를 위한 선형대수

목록 보기
11/14

6-3. 정규/ 자기수반연산자- 유니타리/직교 연산자

4. 왜 정규연산자와 자기수반연산자란 개념이 중요할까?

  • 선형연산자가 대각화 가능한지 판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유한차원 복소내적공간 VVVV의 선형연산자 TT가 있다하자. 다음의 두 명제는 동치이다
      - TT는 정규연산자이다
      - TT는 대각화가능하다
    • 유한차원 실내적공간 VVVV의 선형연산자 TT가 있다하자. 다음 두 명제는 동치이다
      - TT는 자기수반연산자이다
      - TT는 대각화가능하다

4-1. 그래서 정규연산자와 자기수반연산자의 정의는 무엇인가?

  • 조건
    - 내적공간 VV와 선형연산자 TT가 있다고 하자

정규연산자 normaloperatornormal\,\,operator

  • 정의
    - TT=TTTT^*=T^*T인 선형연산자 TT를 정규연산자라고 부른다

자기수반연산자 selfadjointself-adjoint / 에르미트 연산자 hermitianhermitian

  • 정의
    • T=TT=T^* 인 선형연산자 TT를 자기수반연산자라고 부른다

이에 따라오는 정규연산자 성질

  • 조건
    - 내적공간 VV와 정규연산자 TT가 있다 하자
    - 임의의 벡터 xVx\in V 임의의 스칼라 cFc\in F 가 있다하자
    - T(v)=λvT(v)=\lambda v를 만족시키는 고유값 λ\lambda와 고유벡터 vv가 있다하자
    - T(v1)=λ1v1,T(v2)=λ2v2T(v_1)=\lambda_1v_1, T(v_2)=\lambda_2v_2를 만족시키는 v1,v2,λ1,λ2v_1,v_2,\lambda_1,\lambda_2가 있다하자
  • 정리
    - T(x)=T(x)\|T(x)\|=\|T^*(x)\| 이다
    - TcIT-cI는 정규연산자이다 (TcI)(TcI)=(TcI)(TcI)(T-cI)(T-cI)^*=(T-cI)^*(T-cI)
    - T(v)=λˉ(v)T^*(v)=\bar{\lambda}(v)가 성립하여 고유벡터 vv 는 고유값 λˉ\bar{\lambda}에 대응하는 TT^*의 고유벡터이기도 하다
    - λ1λ2\lambda_1 \ne \lambda_2 이면 v1v_1v2v_2는 직교한다
  • 증명
    - T(x),T(x)=x,TT(x)=x,TT(x)=T(x),T(x)\langle T(x),T(x) \rangle =\langle x, T^* T(x) \rangle= \langle x,TT^*(x) \rangle =\langle T^*(x), T^*(x) \rangle
    - (TcI)(TcI)=(TcI)(TcˉI)=(TTcˉTcT+ccˉ)(T-cI)(T-cI)^*=(T-cI)(T^*-\bar{c}I)=(TT^*-\bar{c}T-cT^*+c\bar{c})
    - (TcI)(TcI)=(TcˉI)(TcI)=(TTcTcˉT+ccˉI)(T-cI)^*(T-cI)=(T^*-\bar{c}I)(T-cI)=(T^*T-cT^*-\bar{c}T+c\bar{c}I)
    - TT=TTTT^*=T^*T 이므로 (TcI)(TcI)=(TcI)(TcI)(T-cI)(T-cI)^*=(T-cI)^*(T-cI)
    - 0=(TλI)(v),(TλI)(v)=(TλI)(v),(TλI)(v)0=\langle (T-\lambda I)(v),(T-\lambda I)(v) \rangle=\langle (T-\lambda I)^*(v),(T-\lambda I)^*(v) \rangle
    - (TλˉI)(v)=0(T^*-\bar{\lambda}I)(v)=0
    - T(v1),v2=λ1v1,v2=v1,T(v2)=v1,λ2ˉv2=λ2v1,v2\langle T(v_1),v_2 \rangle= \lambda_1 \langle v_1,v_2 \rangle = \langle v_1,T^*(v_2) \rangle = \langle v_1,\bar{\lambda_2}v_2 \rangle= \lambda_2 \langle v_1,v_2 \rangle
    - (λ1λ2)v1,v2=0(\lambda_1 - \lambda_2) \langle v_1,v_2 \rangle=0
    - λ1λ2\lambda_1 \ne \lambda_2 라면 v1,v2\langle v_1, v_2 \rangle 이 0 → 직교

이에 따라오는 자기수반연산자 성질

  • 정리
    - 자기수반연산자 TT의 모든 고유값은 실수이다
  • 증명
    - T(v)=λvT(v)=\lambda v를 만족시키는 고유벡터 vv와 고유값 λ\lambda가 존재한다고 하자
    - T(v),v=λv,v=v,T(v)=v,T(v)=λˉv,v\langle T(v),v \rangle=\lambda \langle v,v \rangle=\langle v,T^*(v) \rangle = \langle v,T(v) \rangle= \bar{\lambda}\langle v,v \rangle
    - (λλˉ)v,v=0(\lambda-\bar{\lambda})\langle v,v \rangle =0
    - 고유벡터는 정의상 nonzeronon-zero 벡터이므로 λ=λˉ\lambda= \bar{\lambda}

5. 유니타리/직교 연산자의 정의

  • 유니타리/직교 연산자는 길이를 보존하는 연산자다
  • 조건
    - 유한차원 FF- 벡터공간 VV의 선형연산자 TT가 있다 하자
  • 정의
    - F=CF=C 일 때 모든 xVx \in V에 대해 T(x)=x\|T(x)\|=\|x\|인 연산자 TT를 유니타리 연산자unitaryoperatorunitary \,\,operator라고 정의한다
    - F=RF =R 일 때 모든 xVx \in V 에 대해 T(x)=x\|T(x)\|=\|x\|인 연산자 TT를 직교 연산자orthogonaloperatororthogonal \,\,operator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오는 성질

  • TT=TT=ITT^*=T^*T=I
  • 모든 x,yVx,y\in V에 대해 T(x),T(y)=x,y\langle T(x),T(y) \rangle = \langle x,y \rangle이다
  • VV의 정규직교기저 β\beta에 대해 T(β)T(\beta)도 정규직교기저이다
  • 증명
    • 보조정리를 먼저 증명하자
      - 내적공간 VV의 자기수반연산자 UU가 있다하자. 모든 xVx \in V에 대해 x,U(x)=0\langle x,U(x) \rangle=0 이면 U=T0U=T_0이다
      - x+U(x),U(x+U(x))=x+U(x),U(x)+U2(x)=\langle x+U(x),U(x+U(x)) \rangle= \langle x+U(x),U(x)+U^2(x) \rangle=
      - x,U(x)+x,U2(x)+U(x),U(x)+U(x),U2(x)\langle x,U(x) \rangle +\langle x,U^2(x) \rangle + \langle U(x),U(x) \rangle + \langle U(x),U^2(x) \rangle
      - =0+x,U2(x)+U(x)2+0=x,UU(x)+x,U2(x)=2U(x)2=0=0+\langle x,U^2(x) \rangle +\|U(x)\|^2 +0= \langle x,U^*U(x) \rangle + \langle x, U^2(x) \rangle=2\|U(x)\|^2=0
      - forallxVU(x)=0for \,\,all\,\,x\in V\,\,\|U(x)\|=0 이므로 U=T0U=T_0
      - 010\rightarrow 1| T(x),T(x)=x,TT(x)=x,x,x,(TTI)(x)=0\langle T(x),T(x) \rangle= \langle x,T^*T(x) \rangle= \langle x,x \rangle, \,\, \langle x,(T^*T-I)(x)\rangle=0
  • 보조정리에 의해 TTI=T0T^*T-I=T_0
    - 121\rightarrow2| T(x),T(y)=x,TT(y)=x,y\langle T(x),T(y) \rangle = \langle x, T^*T(y) \rangle = \langle x,y \rangle
    - 232\rightarrow 3| VV의 정규직교기저를 β={v1,v2,...,vn}\beta=\{v_1,v_2,...,v_n\}이라고 하자. T(β)={T(v1),T(v2),...,T(vn)}T(\beta)=\{T(v_1),T(v_2),...,T(v_n)\}이다. T(vj),T(vk)=vj,TT(vk)=vj,vk=δjk\langle T(v_j),T(v_k) \rangle = \langle v_j,T^* T(v_k) \rangle= \langle v_j,v_k \rangle =\delta_{jk} 이다
    - 303\rightarrow 0|VV의 정규직교기저 β={v1,v2,...,vn}\beta=\{v_1,v_2,...,v_n\}이라고 하자. x=i=1naivix=\sum_{i=1}^{n}a_iv_i로 적당한 스칼라 aia_i 가 있다하자
    - x2=x,x=i=1naivi,j=1najvj=i,jaiajˉvi,vj=iai2\|x\|^2=\langle x,x\rangle= \langle \sum_{i=1}^{n}a_iv_i,\sum_{j=1}^{n}a_jv_j \rangle=\sum_{i,j}a_i \bar{a_j} \langle v_i,v_j \rangle=\sum_{i} \|a_i\|^2
    - T(x)2=T(x),T(x)=i=1naiT(vi),j=1najT(vj)=i,jaiajˉT(vi),T(vj)=ijajajˉδij=iai2\|T(x)\|^2=\langle T(x),T(x)\|=\langle \sum_{i=1}^{n} a_i T(v_i),\sum_{j=1}^{n}a_jT(v_j) \rangle=\sum_{i,j}a_i\bar{a_j}\langle T(v_i),T(v_j) \rangle= \sum_{ij}a_j\bar{a_j}\delta_{ij}=\sum_i \|a_i\|^2

5-2 용어들: 대칭과 회전

대칭 relfectionrelfection

  • 조건
    - R2\boldsymbol{R}^2의 1차원 부분공간 L\boldsymbol{L}이 있다고 하자.
    - L\boldsymbol{L}는 평면을 지나는 직선이다
  • 정의
    - 모든 xLx \in \boldsymbol{L}에 대해 T(x)=xT(x)=x이고 xLx \in \boldsymbol{L}^\bot에 대해 T(x)=xT(x)=-x로 정의된 선형연산자 TTL\boldsymbol{L}에 대한 R2\boldsymbol{R}^2의 대칭변환이라 정의한다

회전 rotationrotation

  • 조건
    - R2\boldsymbol{R}^2평면이 있고, R2\boldsymbol{R}^2에 수직인 축이 있다 하자
  • 정의
    - R2\boldsymbol{R}^2의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θ\theta 만큼 회전시키는 변환으로 길이를 보전한다
    - T=(cosθsinθsinθcosθ)\boldsymbol T=\begin{pmatrix} cos\theta & -sin\theta \\ sin\theta & cos\theta \end{pmatrix}

5-3. 원뿔곡선과 대각화

  • 원뿔곡선의 정의
    - ax2+2bxy+cy2+dx+ey+f=0ax^2+2bxy+cy^2+dx+ey+f=0
    - x,yx,y 는 변수 a,b,c,d,ea,b,c,d,e는 계수, ff는 상수
    - 계수를 어떻게 선택하냐에 따라 타원/포물선/쌍곡선의 그래프가 된다
  • 이차형식 associatedquadraticformassociated \,\,quadratic\,\,form
    - ax2+2bxy+cy2=dax^2+2bxy+cy^2=d
    - A=(abbc)\boldsymbol{A}= \begin{pmatrix} a & b\\b&c\end{pmatrix} x=(xy)x=\begin{pmatrix} x \\y \end{pmatrix} 로 두었을 때
    - xtAx=dx^t\boldsymbol{A}x=d 꼴로 표현 가능한 함수
  • 대각화의 기능
    - 행렬 A\boldsymbol{A} 를 대각화한 좌표계에서 바라본다면 혼합항(x,yx,y가 동시에 곱해진 항)이 사라진다

대각화 방법

  • 조건
    - 선형변환 LA=TL_A =T 로 표기하자
    - FnF^n의 표준직교기저를 β\beta , TT의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직교기저를 γ\gamma라고 하자
  • 정리
    - ([x]β)t[T]β[x]β=d([x]_\beta)^t[T]_\beta[x]_\beta =d
    - ([x]β)t[I]γβ([I]βγ[T]β[I]γβ)[I]βγ[x]β=d([x]_\beta)^t [I]_{\gamma}^{\beta}([I]_{\beta}^{\gamma}[T]_\beta[I]_{\gamma}^{\beta})[I]_{\beta}^{\gamma}[x]_\beta=d
    - ([I]βγ[x]β)t([I]βγ[T]β[I]γβ)([I]βγ[x]β)=d([I]_{\beta}^{\gamma}[x]_\beta)^t([I]_{\beta}^{\gamma}[T]_\beta[I]_{\gamma}^{\beta})([I]_{\beta}^{\gamma}[x]_\beta)=d
    - (F=R(F=\boldsymbol{R} 이므로 hermitian=transpose)hermitian=transpose)
    - x=[I]γβ[x]βx'=[I]_{\gamma}^{\beta}[x]_\beta , D=[T]γ=[I]βγA[I]γβ\boldsymbol{D}= [T]_\gamma=[I]_{\beta}^{\gamma}\boldsymbol{A}[I]_{\gamma}^{\beta} 로 정의하자
    - xyx'y' 좌표계에선 혼합항이 사라지게 된다
  • 계산 방법
    - 행렬 A\boldsymbol{A}의 고유값 찾기 ⇒ 고유값이 행렬 D\boldsymbol{D}의 대각성분이 된다
    - 고유값에 대응되는 고유벡터 찾기
    - 고유값 λj\lambda_j에 대응되는 고유벡터 vjv_j가 있다하자
    - [I(vj)]β=[I]γβ[vj]γ=[vj]β[I(v_j)]_\beta=[I]_{\gamma}^{\beta}[v_j]_\gamma= [v_j]_\beta
    - colj([I]γβ)=vjcol_j([I]_{\gamma}^{\beta})=v_j 의 관계식을 활용하여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I]γβ[I]_{\gamma}^\beta를 찾는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