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6-2. 수반연산자

milkbuttercheese·2023년 1월 14일
0

AI를 위한 선형대수

목록 보기
10/14

6-2. 수반연산자

3. 수반연산자란 무엇인가?

보조정리

  • 조건
    - 유한차원 FF-벡터공간 VV와 선형변환 g:VFg:V \rightarrow F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모든 xVx \in V에 대해 g(x)=<x,y>g(x)= < x,y > 을 만족시키는 yVy \in V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증명
    - VV의 정규직교기저를 β={v1,v2,...,vn}\beta = \{v_1,v_2,...,v_n\} 이라고 하자
    - y=i=1ng(vi)viy=\sum_{i=1}^{n}\overline{g(v_i)}v_i라 하자
    - h:VFh: V \rightarrow F 에 대해 h(x)=x,yh(x)=\langle x,y \rangle이라고 정의하자
    - hh가 선형이다. 또한 1jn1 \le j \le n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h(vj)=vj,y=vj,i=1ng(vi)vi=i=1ng(vi)vj,vi=g(vj)h(v_j)=\langle v_j,y \rangle =\langle v_j, \sum_{i=1}^{n} \overline{g(v_i)}v_i \rangle=\sum_{i=1}^{n}g(v_i)\langle v_j, v_i \rangle=g(v_j)
    - g=hg=h 이다.
    - yy가 유일함을 보이자
    - 모든 xx에 대해 g(x)=x,yg(x)=\langle x,y' \rangle이라 가정하자. 모든 xx에 대해 x,y=x,y\langle x,y \rangle = \langle x,y' \rangle 이면 앞의 정리(6-1 참고)에 따라 y=yy=y'이다

수반연산자 adjointadjoint의 정의

  • 조건
    - 유한차원 내적공간 VV가 있고 선형연산자 T:VVT:V\rightarrow V가 있다고 하자
    - 임의의 벡터 x,yVx,y \in V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T(x),y=x,T(y)\langle T(x),y\rangle =\langle x,T^\star(y) \rangle 을 만족시키는 함수 TT^\star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TT^\star는 선형변환이다
  • 정의
    - TT^\starTT의 수반연산자adjointadjoi nt라고 부른다
  • 증명
    - yVy \in V를 고정하자. 모든 xVx \in V에 대해 g:VFg:V \rightarrow Fg(x)=T(x),yg(x)= \langle T(x),y \rangle으로 정의하자
    - gg가 선형임을 보이자
    - x1,x2V,cFx_1,x_2 \in V, c\in F 라 하자
    - g(cx1+x2)=T(cx1+x2),y=cT(x1)+T(x2),y=cT(x1),y+T(x2),y=cg(x1)+g(x2)g(cx_1+x_2)=\langle T(cx_1+x_2),y \rangle= \langle cT(x_1)+T(x_2),y \rangle=c\langle T(x_1),y \rangle+ \langle T(x_2),y \rangle=cg(x_1)+g(x_2)
    - 위의 보조정리를 활용하자
    - g(x)=x,yg(x)=\langle x,y' \rangle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벡터 yVy' \in V가 존재한다
    - 즉 T(x),y=x,y\langle T(x),y \rangle = \langle x,y' \rangle 이다
    - T:VV,T(x)=yT^\star :V \rightarrow V ,\,\,T^\star(x)=y' 이라 정의하자
    - TT^\star의 선형성 보이기
    - y1,y2V,cFy_1,y_2 \in V, c \in F를 고정하고 임의의 xVx \in V에 대해 살펴보자
    - x,T(cy1+y2)=T(x),cy1+y2=cˉT(x),y1+T(x),y2=cˉx,T(y1)+x,T(y2)=x,cT(y1)+T(y2)\langle x,T^\star(cy_1+y_2) \rangle = \langle T(x),cy_1+y_2\rangle = \bar{c}\langle T(x),y_1 \rangle +\langle T(x),y_2 \rangle=\bar{c}\langle x,T^\star(y_1) \rangle + \langle x, T^\star( y_2) \rangle=\langle x,c T^*(y_1)+T^\star(y_2)\rangle
    - 모든 xVx\in V에 대해 성립하므로 T(cy1+y2)=cT(y1)+T(y2)T^*(cy_1+y_2)=cT^*(y_1)+T^*(y_2)
    - TT^\star의 유일함 보이기
    - U:VVU:V \rightarrow V에 대해 선형이고 x,yVx,y\in V에 대해 T(x),y=x,U(y)\langle T(x),y \rangle = \langle x,U(y) \rangle을 만족시킨다고 가정하자
    - x,yVx,y\in V에 대해 x,T(y)=x,T(y)\langle x,T^*(y)\rangle= \langle x,T(y) \rangle

이에 따라오는 성질들

  • 조건
    - 유한차원 벡터공간 VV와 그 정규직교기저 β\beta, 선형연산자 TT
    가 있다고 하자
  • 정리
    - [T]β=([T]β)[T^*]_{\beta}= ([T]_{\beta})^*

증명

  • β={v1,v2,...,vn}\beta =\{v_1,v_2,...,v_n \} 이라고 하자
  • 보조정리 하나를 증명하자
  • 조건
    • 유한차원 내적공간 VVVV의 정규직교기저 β\beta가 있다고 하자
    • β={v1,v2,...,vn}\beta =\{v_1,v_2,...,v_n \}라고 하자
    • 임의의 벡터 x,yVx,y \in V가 있다고 하자
    • ,\langle \cdot,\cdot \rangleVV의 내적, ,\langle \cdot,\cdot \rangle'FnF^n의 표준내적이라 하자
  • 정리
    - x,y=[x]β,[y]β\langle x,y \rangle = \langle [x]_\beta,[y]_\beta \rangle' 이다
  • 증명
    - x=i=1nx,vivix= \sum_{i=1}^{n} \langle x,v_i \rangle v_i 이다
    - x,y=i=1nx,vivi,y=i=1nx,viy,vi\langle x,y \rangle= \langle \sum_{i=1}^{n} \langle x,v_i \rangle v_i, y\rangle=\sum_{i=1}^{n} \langle x,v_i \rangle \overline{\langle y,v_i \rangle}
    - [x]β,[y]β=ix,viei,jy,vjej=i,jx,viy,vjei,ej=ix,viy,vi=x,y\langle [x]_\beta,[y]_\beta \rangle=\langle \sum_{i} \langle x,v_i\rangle e_i, \sum_{j} \langle y,v_j \rangle e_j \rangle \rangle= \sum_{i,j} \langle x,v_i \rangle \overline{\langle y,v_j \rangle} \langle e_i,e_j\rangle'= \sum_{i} \langle x,v_i \rangle \overline{\langle y,v_i \rangle }=\langle x,y \rangle
    - 보조정리를 활용하여 증명하자
    - T(vj),vk=[T(vj)]β,[vk]β\langle T^*(v_j),v_k\rangle = \langle [T^*(v_j)]_\beta,[v_k]_\beta \rangle 를 이용한다
    - [T(vj)]β=[T]β[vj]β=colj([T]β)=i([T]β)ijei[T^*(v_j)]_\beta= [T^*]_\beta[v_j]_\beta=col_j([T^*]_\beta)=\sum_{i} ([T^*]_{\beta})_{ij}e_i
    - i([T]β)ijei,ek=([T]β)kj\langle \sum_{i} ([T^*]_{\beta})_{ij}e_i, e_k \rangle=([T^*]_\beta)_{kj}
    - T(vj),vk=vj,T(vk)=[vj]β,[T(vk)]β\langle T^*(v_j),v_k\rangle =\langle v_j,T(v_k) \rangle=\langle [v_j]_\beta,[T(v_k)]_\beta \rangle를 이용한다
    - [T(vk)]β=[T]β[vk]β=colk([T]β)=i([T]β)ikei[T(v_k)]_\beta=[T]_\beta[v_k]_\beta=col_k([T]_\beta)=\sum_{i} ([T]_{\beta})_{ik}e_i
    - ej,i([T]β)ikei=i([T]β)ikej,ei=([T]β)jk\langle e_j,\sum_{i} ([T]_{\beta})_{ik}e_i \rangle= \sum_{i} ([T]_\beta)_{ik} \langle e_j,e_i \rangle= ([T]_\beta)_{jk}
    - ([T]β)kj=([T]β)jk([T^*]_\beta)_{kj}= ([T]_\beta)_{jk}

이에 따라오는 성질2

  • 조건
    - 내적공간 VV와 수반연산자가 존재하는 선형연산자 T,UT,U가 존재한다고 하자
    - 임의의 cFc \in F가 존재한다고 하자
  • 정리
    - (T+U)(T+U)^* 가 존재하고 (T+U)=T+U(T+U)^*=T^*+U^* 이다
    - (cT)(cT)^*가 존재하고 (cT)=cˉT(cT)^*=\bar{c}T^* 이다
    - (TU)(TU)^*가 존재하고 (TU)=UT(TU)^*=U^*T^* 이다
    - (T)(T^*)^*가 존재하고 T=TT^{**}=T 이다
    - II의 수반연산자가 존재하고 I=II^*=I이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