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class와 같은 선택자와 달리 html상에는 존재하지 않고, 어떤 상태를 지정하는 것이 가상 선택자이다.
방문하지 않은 링크를 선택한다.
a:link{color: red;}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를 지정한다.
a:active{color: blue;}
마우스를 위에 올린 상태를 지정한다.
a:hover{color: deeppink;}
input박스 등이 포커스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지정한다.
input:focus{border: solid 10px red;}
→ input박스를 선택했을 때 입력가능한상태가 되었을때 박스가 빨간색 실선 10px의 크기로 변한다.
순서에 따른 상태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li:first-child{color: red;}
→ list중 첫번째에 빨간색 적용
li:last-child{color: blue;}
→ list중 마지막에 파란색 적용
li:nth-child(n){color: gray;}
→ list중 n번째에 회색 적용
<응용> nth-cgild(2n) : 짝수
nth-cgild(2n+1) : 홀수
지정한 태그의 앞을 지정
li:before{content: "|"}
→ list앞에 |를 입력. 이때 리스트부호와 리스트의 내용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지정한 태그의 뒤를 지정
li:after{content: "입니다"}
→ list뒤에 입니다를 입력. 이때 예시와 같이 단어나 글을 작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꾸미는 것일뿐 정보나 의미를 담지는 않는다.
※ 다른 스타일은 모두 적용이 되었는데 특정 한가지만 적용이 되지않을때 확인 방법
: 크롬에서 검사를 눌러 해당 코드부분을 선택했을때 오른쪽 스타일탭에서 어느 영역이 표시가 되고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오늘 CSS를 더 배워보니 이제 뼈대에서 뭔가 살이 하나씩 붙는 느낌이 들어 흥미로웠다. 그리고 velog를 계속 작성하고 있는데 정리에 통일성도 없고 나중에 까먹고 다시봤을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지않을까 해서 좀더 알기쉽도록 다시 정리를 해야할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