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버튼과 통합검색 버튼의 높이가 딱 맞지않고 뒤틀린 경우.
-> 두 가지를 감싸고 있는 .blog_header_input_wrap에 문제가 생긴 경우임. 해당 클래스에서 border값을 없애줬을 때 해결됐음.
네이버에서 flex가 아니라 번거롭게 float을 쓰는 이유는???
-> 익스플로러 하이버전에서 flex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 !
그러므로 웹사이트 작업을 할 때 어떤브라우저의 어떤 버전까지 호환되도록 할지에 따라 작업난이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겠다.
rgba로 하는 것이 한 줄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가 짧아져서 좋다.
▒TIP▒
hex 컬러만 알고 있는데 rgba로 표현하고 싶을 때
'hex converter'검색하여 hex색상번호를 입력하면 rgb코드로 출력됨 !
letter-spacing : 자간을 설정하는 태그
- letter-spacing: normal;
- letter-spacing: 1px; (-> 더 멀리)
- letter-spacing: -1px; (-> 더 가깝게)
- letter-spacing: 0.2em;
(-> 상대적인 숫자로, '현재 글자크기의 *배'를 의미한다
: 두 줄, 세 줄 등 특정 시점에서 글의 내용을 말줄임표로 줄여서 표현하는 방법
[ex]
.ellipsis{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display: -webkit-box;
-webkit-line-clamp: 2;
-webkit-box-orient: vertical;
→ 두번째 줄에서 말줄임.
▒TIP▒
아직 배우기 전단계이므로 구글에서 'css 말줄임 두줄'등으로 검색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오늘 수업에서는 선생님께서 header에서는 id를 사용하시고, main에서는 class를 사용하셨던 것에 의문이 생겼다.
그리고 id나 class명은 되도록 간결하고 짧게 적는게 좋다고 하셨는데, 이번 실습에서는 너무너무 길어지는 느낌이 들어서 나만 의아한가..싶다.
해결방법은 딱히 없는 것 같다. 강사 선생님께 직접 질문을 할 수 있는 수업구조가 아니다보니 왜 class를 쓰셨는지 여쭐수가 없고, class명은 앞으로 내가 더 고민하고 만들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요즘은 하면 할수록 잘 하고 있는 건가 싶기도하고, 답답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그래도 이또한 성장의 한 단계라고 생각하고 더 열심히 해볼 생각이다.
아, 그리고 실습 강의에서 어떻게 개발일지를 적어야할까 고민이 좀 많았는데, 코드를 여기 입력하고 수업내용을 적다보니, 그냥 여기서는 이렇게 했다~하고 수업을 그대로 옮기는 느낌이 들어서 이제 코드는 깃허브에 올리고 나도 배운내용만 간결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좀 하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