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 기본 설정과 세팅, 레벨 생성, 폴더관리, 플러그인 설치, 라이트 세팅

minmin💫·2024년 5월 4일
0

📌언리얼 오픈, 기본 세팅

세팅 해두면 다른 컴퓨터로 언리얼을 오픈했을 때에도 변동이 없기 때문에 미리 세팅을 하는 것이 좋다.

게임 배경을 만들어야 하므로 게임 선택.
삼인칭으로 선택하고 프로젝트 디폴트는 기본으로 냅둔다.
블루프린트, C++같은 용어는 코딩쪽?으로 알고 있는데 그대로 진행.


언리얼은 프로젝트 파일 안에 각 레벨을 만들어 여러개를 만들 수 있다.
(포토샵 한개 파일 안에 여러 레이어를 두고 컨트롤 하는 개념?)
빈 레벨에서 작업 할 레벨을 열어준다.

플러그인을 설치 해 주어야 패스트레이싱 랜더를 뽑을 수 있다.

패스트레이싱으로 랜더링 하려면 무비렌더큐 플러그인을 깔아준다.
퀵셀 브릿지는 고품질의 다양한 텍스처와 오브젝트를 엔진에 연동하여 바로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환경 라이트 믹서에서 상단 라이트를 모두 클릭하여 켜준다. 일단 다 켠다음에 프랍 놓고 씬 구성할때 지우거나 조절하면 된다.

폴더 관리를 잘 해주어야 한다. 나는 처음에 잘 몰라서 콘텐츠 안에 다 넣었더니 포폴 두개가 뒤섞여있다.. 이걸 다시 정리하려면 텍스처 다시 넣어주고 그런 귀찮음이 발생할 수 있으니 처음부터 1번포폴, 2번포폴 이런식으로 잘 나눠야한다.

profile
3D Environment Arti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