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
180 | 5000 | 10 | 600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
05:34 | 5961 | 입차 |
06:00 | 0000 | 입차 |
06:34 | 0000 | 출차 |
07:59 | 5961 | 출차 |
07:59 | 0148 | 입차 |
18:59 | 0000 | 입차 |
19:09 | 0148 | 출차 |
22:59 | 5961 | 입차 |
23:00 | 5961 | 출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
0000 | 34 + 300 = 334 | 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
0148 | 670 | 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
5961 | 145 + 1 = 146 | 5000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fees | records | result |
---|---|---|
[180, 5000, 10, 600] | ["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 | [14600, 34400, 5000] |
[120, 0, 60, 591] | ["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 | [0, 591] |
[1, 461, 1, 10] | ["00:00 1234 IN"] | [14841] |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
120 | 0 | 60 | 591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
16:00 | 3961 | 입차 |
16:00 | 0202 | 입차 |
18:00 | 3961 | 출차 |
18:00 | 0202 | 출차 |
23:58 | 3961 | 입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
0202 | 120 | 0 |
3961 | 120 + 1 = 121 | 0 +⌈(121 - 120) / 60⌉x 591 = 591 |
입출력 예 #3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
1 | 461 | 1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
00:00 | 1234 | 입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
1234 | 1439 | 461 +⌈(1439 - 1) / 1⌉x 10 = 14841 |
-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정확성 테스트 : 10초
record의 요소들을 ['차량 번호', '시간', '출입 여부'] 형태로 변환한 후 '차량 번호'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한다. 이때, 시간은 모두 '분' 단위로 변환한다.
총 주차 시간을 입력할 딕셔너리를 생성한다. 이때 키는 차량 번호이며, 이 역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정렬한 요소들을 순서대로 꺼낸다.
n번째 요소와 n+1번째 요소를 비교하여 차량 번호가 동일하면 다음 계산을 수행한다.
n번째 요소와 n+1번째 요소를 비교하여 차량 번호가 다르다면 다음 계산을 수행한다.
'총 주차 시간' 딕셔너리에서 각 value를 꺼내어 '기본 시간'을 뺀다.
총 요금을 반환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입차 시간 및 출차 시간을 분 단위로 변경할 함수를 선언
def time_to_minutes(time):
hour, minutes = time.split(":")
total_minutes = (int(hour) * 60) + int(minutes)
return total_minutes
def solution(fees, records):
answer = []
base_time, base_fee, extra_time, extra_fee = fees
# record를 차량 번호 순으로 정렬하고, 이를 queue로 변환
sorted_records = deque(sorted([record.split(" ") for record in records], key=lambda x: x[1]))
# 각 차량별 총 주차 시간을 기록할 딕셔너리를 생성
car_numbers = sorted(list(set([record[1] for record in sorted_records])))
total_times = {}
for car_number in car_numbers:
total_times[car_number] = 0
# 차량별 총 주차 시간 계산
while sorted_records:
a = sorted_records.popleft()
# 입차 및 출차 기록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if sorted_records and a[1] == sorted_records[0][1]:
b = sorted_records.popleft()
parking_times = time_to_minutes(b[0]) - time_to_minutes(a[0])
total_times[a[1]] += parking_times
# 입차 기록만 존재하고 출차 기록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
else:
parking_times = time_to_minutes("23:59") - time_to_minutes(a[0])
total_times[a[1]] += parking_times
# 각 차량별 요금 계산
for _, parking_times in total_times.items():
rest_times = parking_times - base_time
if rest_times <= 0:
answer.append(base_fee)
else:
total_fee = base_fee + ((rest_times // extra_time) * extra_fee)
if rest_times % extra_time > 0:
total_fee += extra_fee
answer.append(total_fee)
return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