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하던 중, 작은 트러블슈팅에 대해서 회고하는 글을 작성하고자 한다.그 트러블은 바로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아주 사소한 것이였다.테이블-테이블을 매핑했었고, 테이블은 1:1로 매핑되어 @joinColumn을 하게 되면 자연스레 해당 테이블도 생성될거라
프로젝트에서 요즘 핫하다는 AI를 사용해보자는 마음에 openAI api를 사용해보려고 했다.어떻게 세팅하는가...! 그리고 왜 그렇게 세팅하는지 회고하고자 한다.우선 application.properties와 같은 git업로드가 안되는 가려진 파일에 api key를
기존의 http 요청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옵니다.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받아옵니다.그렇기에,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지속적으로 소통을 하려면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핸드셰이크라는 과정
지인과 함께 프로젝트를 만들기로 하였다.나의 경우에는 다룰 줄 아는 기술들이 매우 한정적이라 여기서 빠르게 스킬트리를 올리는 방법은 프로젝트를 하기로 했다.REST API는 다룰 줄 아는데, 이건 다들 할 줄 아니까, 좀 새롭게 남들 안하고 만들면서도 재미있고 만들고
이진 트리의 순회 구조는 크게 3가지가 존재합니다preorder, inorder, postorder입니다.먼저 왼쪽으로 이동 후 방문 후 다시 오른쪽을 preorder,왼쪽으로 이동 후 오른쪽으로 다시 가서 읽는 것을 inder,그리고 오른쪽으로 간 뒤 읽고 왼쪽으로
네트워크 참조 모델(A.K.A 네트워크 계층 모델)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전달 -> 안정적인 송신을 위해 정보를 더하고 뺌 -> 송신하려는 정보의 송수신지를 결정 -> 송수신라는 매체를 유무선으로 주고받음 -> 수신하려는 정보의 송수신지를 결정 -> 안
이전 프로그램에서는 희소행렬을 단순 배열로 작성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연결 리스트를 활용하여 작성해보겠습니다. 일단 첫번째로 row, col, value의 데이터가 들어간 Node를 뒤의 Node로 link시켜서 만드는.. 연결 리스트가 생각납니다. 그러나 더 효과적
Big-O 표기법과 시간 복잡도 프로그램은 방식에 따라 실행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big-o표기법에 대해서 잘 관찰하면 보통 반복과 같은 형태에서 나타난다. 한 줄의 실행에 n으로 표기하고, O(n)으로 표기한다. 그리고 n은 큰수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O(
ploynomial은 연결 리스트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abstart입니다. 구조체를 이용해서 선언됩니다. 크게 두가지 방향을 통해 구현가능한데 먼저 Dense Expression, 그리고 Sparse Expression입니다. 다항식은 의 쌍들로 이루어져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