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compose
를 통해서 Dockerfile 하나보다 여러 컨테이너들을 묶어서 편하게 관리하기가 아주 좋습니다.
이제 docker-compose
를 위한 실습을 해봅시다.
UserEntity
를 가지고 CURD를 하는 SpringBoot RESTAPI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MySql DB
와 연동을 해야 하는데 docker-compose.yml
파일로 쉽게 연동할 수 있음을 실습해보겠습니다.
Mysql 사용시 로컬에서 port 3306를 중지
시키고 docker-compose 실습을 하기 바랍니다. 이것때문에 port를 docker-compose에서 아무리 바꿔도 바뀌지 않습니다!...
심신건강을 위해 3306를 꺼두고 진행해주세요! => 작업관리자에서 꺼주시길!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 mysql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 test에서 lombok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dotenv
implementation 'io.github.cdimascio:java-dotenv:5.1.1'
}
@Getter
@Build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Entity
@Table(name = "users")
public class User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UserDto {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public class UserResult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UserResult(UserEntity users) {
this.id = users.getId();
this.username = users.getUsername();
this.password = users.getPassword();
}
}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Entity, Long> {
}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Entity create(UserDto userDto) {
UserEntity userEntity = UserEntity.builder()
.username(userDto.getUsername())
.password(userDto.getPassword())
.build();
return userRepository.save(userEntity);
}
public UserEntity readOne(Long id) {
return user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 -> new ResponseStatusException(HttpStatus.NOT_FOUND));
}
}
UserController
@Slf4j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api")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o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create(@RequestBody UserDto userDto) {
log.info("create Users");
UserEntity users = userService.create(userDto);
return ResponseEntity.ok(new UserResult(users));
}
@GetMapping("{id}")
public ResponseEntity getUser(@PathVariable Long id) {
log.info("readOne");
UserEntity users = userService.readOne(id);
return ResponseEntity.ok(new UserResult(users));
}
}
DB ORM은 JPA
를 사용합니다.
application.yml
파일에서 JPA 연동 설정을 해야합니다.
database 설정은 docker-compose.yml에서 설정해줄 거기 때문에 application.yml에서 뺐습니다.
application.yml
spring:
# 주석을 해도 안해도 상관x, 설사 틀린내용이라도. 우선순위가 docker-compose내용으로 하기 때문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PROD_HOST}:3307/${MYSQL_DATABASE}?useSSL=false&serverTimezone=Asia/Seoul&characterEncoding=UTF-8&allowPublicKeyRetrieval=true
username: ${MYSQL_USER}
password: ${MYSQL_PASSWORD}
jpa:
open-in-view: false # controller 에서 지연로딩을 사용할 때 false로 설정
hibernate:
ddl-auto: update # 테이블 생성 및 업데이트 전략 (create, create-drop, update, validate, non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 SQL 포맷팅
highlight_sql: true # 하이라이트 SQL 출력
use_sql_comments: true # 실제 JPQL SQL 주석 사용
build.gradle
jar {
enabled = false
}
#DB
LOCAL_HOST=localhost
PROD_HOST=host.docker.internal
# Mysql
MYSQL_ROOT_PASSWORD=1234
MYSQL_DATABASE=post
MYSQL_USER=post
MYSQL_PASSWORD=post
@Slf4j
@Configuration
public class DotEnvConfig {
@Bean
public Dotenv dotenv() {
log.info(".env file loading...");
// .env 파일을 읽어서 환경변수로 사용
return Dotenv.configure().directory("./")
.ignoreIfMissing() // .env 파일이 없어도 에러 발생 안함
.load();
}
}
자 이제 Dockerfile과 docker-compse.yml을 보겠습니다.
이 둘은 꼭 같은 경로에 있어야 합니다!
꼭 ./gradlew clean build
로 jar를 새로 생성하고 실행해야 오류가 안납니다.
Dockerfile
FROM openjdk:17-jdk
ARG JAR_FILE=build/libs/*SNAPSHOT.jar
COPY ${JAR_FILE} app.jar
ENTRYPOINT ["java","-jar","/app.jar"]
gradlew clean build 처리 까지한 Dockerfile
Dockerfile
# 최신 17-jdk-alpine 이미지로부터 시작
FROM openjdk:17-jdk-slim
# 작업 디렉토리를 /app으로 설정
WORKDIR /app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컨테이너의 /app 디렉토리로 복사
COPY . .
# gradlew에 실행 권한 부여
RUN chmod +x ./gradlew
# 프로젝트 빌드
RUN ./gradlew clean build
#ENV SPRING_PROFILES_ACTIVE=prod
# 빌드된 JAR 파일을 컨테이너로 복사
ARG JAR_FILE=build/libs/*SNAPSHOT.jar
RUN mv ${JAR_FILE} app.jar
#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실행될 명령어 지정
# 오류남! 왜냐하면, spring.profiles.active=prod를 사용하려면, application.properties에 spring.profiles.active=prod를 추가해야함
ENTRYPOINT ["java", "-jar", "app.jar"]
#ENTRYPOINT ["java", "-Dspring.profiles.active=prod", "-jar","app.jar"]
.env 파일 포함 Dockerfile
# 1단계: Gradle 빌드 스테이지
FROM gradle:8.5-jdk17 AS build
# 작업 디렉토리 설정
WORKDIR /app
# Gradle 캐시를 위해 build.gradle과 settings.gradle 먼저 복사
COPY build.gradle settings.gradle ./
COPY gradle gradle
COPY gradlew ./
# gradlew 실행 권한 부여 (중요!)
RUN chmod +x ./gradlew
# 의존성 다운로드 (캐시 최적화)
RUN ./gradlew dependencies --no-daemon
# 소스 코드 복사
COPY src src
# JAR 파일 빌드
RUN ./gradlew build --no-daemon -x test
# 2단계: 실행 스테이지
FROM openjdk:17-jdk-slim AS runtime
# 작업 디렉토리 설정
WORKDIR /app
# 환경 변수 파일 복사
COPY .env .env
# 빌드 스테이지에서 생성된 JAR 파일 복사
COPY --from=build /app/build/libs/*.jar app.jar
# 포트 노출
EXPOSE 8080
# 애플리케이션 실행
ENTRYPOINT ["java", "-jar", "/app/app.jar"]
docker-compse.yml
version: "3.8"
services:
deploy-db:
image: mysql:8
container_name: deploy-db
env_file:
- .env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MYSQL_ROOT_PASSWORD} # MySQL 루트 비밀번호
MYSQL_DATABASE: ${MYSQL_DATABASE} # 기본 생성할 데이터베이스 이름
MYSQL_USER: ${MYSQL_USER} # 사용자 이름
MYSQL_PASSWORD: ${MYSQL_PASSWORD} # 사용자 비밀번호
TZ: Asia/Seoul # 타임존 설정
ports:
- "3307:3306" # 호스트 포트 3307 -> 컨테이너 포트 3306
# volumes:
# - mysql_data:/var/lib/mysql # MySQL 데이터 영구 저장
command: [
"--character-set-server=utf8mb4", # 문자 셋 설정
"--collation-server=utf8mb4_general_ci", # 문자 정렬 설정
]
healthcheck:
test:
[
"CMD",
"mysqladmin",
"ping",
"-h",
"localhost",
"-u${MYSQL_USER}",
"-p${MYSQL_PASSWORD}",
]
timeout: 20s
retries: 10
interval: 30s
networks:
- app-network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app:
build:
context: . # 현재 디렉토리를 빌드 컨텍스트로 사용
dockerfile: Dockerfile # Dockerfile 위치
container_name: spring_app
env_file:
- .env
environment:
# Spring Profile 설정
- SPRING_PROFILES_ACTIVE=prod
# host.docker.internal 사용 (Windows/Mac)
- PROD_HOST=${PROD_HOST}
# MySQL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앱 컨테이너에도 전달
- MYSQL_DATABASE=${MYSQL_DATABASE}
- MYSQL_USER=${MYSQL_USER}
- MYSQL_PASSWORD=${MYSQL_PASSWORD}
ports:
- "8080:8080" # 호스트 포트 8080 -> 컨테이너 포트 8080
depends_on:
deploy-db:
condition: service_healthy # MySQL이 정상 동작할 때까지 대기
restart: unless-stopped # 컨테이너 자동 재시작
# host.docker.internal 사용 시 추가 설정
extra_hosts:
- "host.docker.internal:host-gateway"
networks:
- app-network
# 네트워크 정의
networks:
app-network:
driver: bridge
# MySQL 데이터 영구 저장을 위한 볼륨
volumes:
mysql_data:
이 상태에서 docker-compose 파일을 실행해보겠습니다.
docker-compose up
⭐ Dockerfile을 새로 build하고 싶다면 빌드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docker-compose up -d --build
만약 다른 경로에 있거나 다른 파일명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 -f
옵션으로 docker-compose 파일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docker-compose -f [다른 docker-compose.yml] up
# 예시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v3.yml up
-d
옵션을 주면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docker-compose -d up
만약 docker-compose 실행을 닫고 싶다면
docker-compose down
이 명령어를 치면 됩니다.
log 명령어를 통해 올라간 springboot 프로젝트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docker-compose logs
제대로 실행되는지
postman
으로 api를 보내는 테스트를 진행해봅시다.
post : localhost:8080/api
get : localhost:8080/api/{id}
네, 둘다 제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