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 물리학 및 공학에서 위치, 속도, 힘 등과 같이 크기와 방향성을 나타냄
공학에서는 벡터 공간이 유클리드 공간인 경우를 다룸
유클리드 벡터, 기하 벡터, 공간 벡터라고 부름
벡터와 대비하여 크기만을 갖는 대상을 스칼라라고 함

벡터의 표기
한 벡터를 부호 a로 사용하여 나타낼 때,
점 A에서 점 B를 향하며, 크기가 두 점 사이를 잇는 선분의 길이인 벡터:
A를 화살표의 원점, 기점, 꼬리라고 하며, B는 화살표의 끝, 종점, 머리라고 표현

벡터의 기본적인 성질
벡터의 좌표와 성분

벡터의 성분,분해,합성

단위 벡터
단위 벡터는 크기가 1이며, 특정한 방향을 갖는 벡터
3차원의 직각좌표계 (X, Y, Z)가 주어질 때, 각 좌표축에 나란한 방향을 갖는 단위벡터를 각각 , , 라고 나타냄

축의 방향은 '오른나사 규칙', '오른손 규칙'의 관례를 따라 정함
모든 좌표축에 대한 단위 벡터들의 집합을 기저벡터 집합이라고 부름
특정 기저벡터 집합을 선택하는 것은 특정한 직각좌표계를 선택하는 것과 동등
스칼라 배의 정의를 이용하여 벡터 a의 성분 벡터들은 아래와 같이 표현 가능

벡터의 덧셈

덧셈의 교환법칙

덧셈의 결합법칙

평행사변형법

성분을 이용한 대수적인 방법

벡터의 뺄셈
벡터의 곱셈
벡터의 내적


벡터의 외적



행렬을 이용하면 복잡한 자료를 이용한 어려운 계산도 쉽게 풀 수 있고 해석도 직관적으로 가능함


행렬 A의 크기는 행과 열의 수의 순서쌍(m,n) 또는 m * n을 뜻함
만약 행과 열의 수가 같다면, A를 정사각행렬 또는 정방행렬이라고 함
m=1이면 행 벡터, n=1이면 열 벡터

위치가 같은 원소끼리 더하거나 빼줌

행렬의 상수배는 행렬의 각 성분에 임의의 실수를 곱합

행렬의 곱하기는 행렬의 열의 수와 곱해지는 행렬의 행의 수가 같을 때만 가능
결과로 나오는 행렬의 크기는 앞 행렬의 행 수와 뒤 행렬의 열 수



행렬의 곱은 AB와 BA가 같지 않음(교환 불가)
행렬 [m x n], 행렬 [n x k]를 곱했을 때 [m x k]

전치행렬: 행렬을 뒤집어 놓은 형태

역행렬


단위행렬

대각행렬

삼각행렬

대칭행렬

반대칭행렬

이 글은 제로베이스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