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방정식:linear equation

비선형 방정식: nonlinear equation

선형 방정식 계(A system of linear equation): 같은 변수들을 포함한 선형 방정식이 1개 또는 그 이상의 집합을 의미

해의 집합(Solution set): 선형 시스템에서 모든 가능한 해의 집합
상등(Equivalent): 두 선형 시스템에 같은 해의 집합을 가지고 있다면 두 선형 시스템은 상당함
-> 같은 해의 집합을 갖는 선형방정식 간의 관계를 행 상등이라고 함

해가 없다(Inconsistent)
-> 두 직선이 평행하면 교차점이 없음, 이 경우가 no solution이며, 두 방정식은 inconsistent라고 함

해가 있다(consistent)
-> 해가 하나인 경우

->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

선형 방정식 계는 no solution, exactly one solution, infinitely many solution
Inconsistent: no solution을 의미
Consistent: exactly one solution, infinitely many solution을 의미
2개의 해가 존재하는 경우는 비선형

행렬 표기법(matrix notation): 선형시스템을 행렬로 표현한 것

계수행렬(coefficient matrix): b를 제외하고 a만을 행렬로 나타낸 것
첨가행렬(augmented matrix): b까지 포함한 행렬

선형방정식의 n=2 일 때 행관점과 열관점
행 관점의 선형 방정식 접근
-> 두 개의 식이 X, Y 좌표에 표시할 수 있고 두식이 교차하는 점에서 해가 존재함

열 관점으로 선형 방정식 접근
-> (2,1) vector에 2(x)를 곱하고 (-1, 1) vector에 3(y)을 곱함
-> 위와 같이 곱하게 되면 (4, 2) + (-3, 3) = (1, 5)가 됨

선형방정식의 n=3일 때 행관점과 열관점
행 관점으로 선형 방정식 접근
-> Row picture: 평면들의 교차점(intersection of plans)

열 관점으로 선형 방정식 접근
-> Column picture: 열들의 결합(Combination of columns)



소거법(Elimination)
행 연산(row operation)을 통해 소거법(elimination)을 진행하고 선형 방정식(linear equation)의 해(solution)을 구할 수 있음
가우스 소거법에서 행할 수 있는 기본 행 연산(elementary row operations)
-> 0이 아닌 상수를 행에 곱할 수 있다. (scaling)
-> 두 행을 교환할 수 있다. (interchange)
-> 한 행을 상수배 하여 다른 행에 더할 수 있다. (replacement)
상/하삼각행렬을 만들어 해를 찾음

가우스 소거법
-> 1) 선형 방정식 계를 행렬로 표현

-> 2) 마지막 행의 의 계수를 0으로 만듦

-> 3) 마지막 행의 의 계수를 0으로 만듦

-> 4) 마지막 행의 의 계수를 1로 만듦: 상삼각행렬 완성

-> 5) 을 알았으므로 대입을 통해 , 의 값을 구함


The Singular Case
-> 1) 해가 없는 경우: 평행

-> 2) 세 개의 평면이 평행하지 않는 경우

-> 3) 세 개의 평면이 평행한 경우

-> 4)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infinity of solution)

시스템이 특이할 때 column picture
-> 1) 해가 없는 경우: 3개의 column이 동일한 평면에 놓이고 b는 다른 평면에 위치할 때 해가 없음

-> 2) 해가 무수히 많은 경우: b가 3개의 열들과 동일한 평면에 놓여져 있을 때 b를 만들기 위해 3개의 열들은 무수히 많은 방법으로 결합 될 수 있음

숫자의 승수 역수: Multiplicative inverse of a number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

이론
A가 2x2 행렬일 때 ad-bc !=0 이면 A는 invertible 함
ad-bc = 0 이면 not invertible 임
여기서 ad-bc는 pivot position이 2개 있을 조건을 의미하며 determinant(결정자)라고 불림
어떤 matrix가 invertible을 판단할 때 determinant가 0인지 아닌지를 확인해야 함


A가 invertible [n x n] matrix이면 공간에 있는 b에 대한 방정식 는 유일한 해를 갖음
A의 inverse를 이용하면 쉽게 solution을 구할 수 있음

A가 invertible matrix 이면 도 invertible
=

A가 invertible이면 도 invertible

기본행렬: Elementary Matrices
기본 행렬은 항등 행렬에 단일
기본 행 연산을 적용해서 얻어짐

은 replacement를 적용한 행렬
는 A에 replacement를 적용한 것과 동일한 값이 나옴
는 interchange를 적용한 행렬
는 Scaling을 적용한 행렬, 이를 A와 곱하면 A에도 행 연산을 적용한 결과가 나

[m x n] matrix에 elementary row operation을 수행했다는 것은 어떤 m x m elementary matrix가 존재한다는 의미
A에 적용한 row operation을 m x m identity matrix에 적용하면 E가 생성 됨
Elementary matrix E가 invertible이면 E의 inverse는 E를 I로 변환하는 elementary matrix 임
를 찾는 알고리즘

역행렬 이론(The invertible Matrix Theorem)

역선형 변환(Invertible Linear Transformation)


이론
이 글은 제로베이스 강의 자료 일부를 발췌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