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경 설정 인텔리제이 설치하고 환경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에러가 많이 나서,,ㅜ 다음에도 날 수 있으니까 정리해 놓자면, 1) "Java file outside of source root" file-> structure -> moduled에 들어가서 java
model(data 객체..?아직까진 모르겠다)view(화면에 보여지는 부분)controller(url과 view를 mapping하고 data를 전달받고 전송하는 등의 역할)@ResponseBody : helloApi함수에서 return hello를 해주었을 때, vi
도메인 : 객체를 담고 있는 패키지서비스 : 전체적인 웹 서비스의 로직을 구축하는 패키지repository interface : db와 repository를 연결하는 점? 정도.. 선언?repository : 객체 관리, 조회, 수정 등등을 구현!?repository를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mvc/mvc-servlet/handlermapping-interceptor.htmlhttps://docs.spring.io/spring-framew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mvc/mvc-config.html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mvc/mvc

api를 문서화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지금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api 명세 방법으로는 postman을 사용해 왔다. 그런데 쓰면서도 굉장히 불편함을 느꼈다. api를 등록하기 위해 일일히 url을 다 작성해줘야 했던 점api가 수정이 될 때 마다 일일히 postm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mvc/mvc-servlet/multipart.html파일 업로드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서버로 파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입니다.Spring MV

URL: /upload_form요청 방식: GET설명: 클라이언트가 업로드 양식을 요청하고, 서버는 HTML 폼을 렌더링합니다.클라이언트가 파일을 선택하고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는 HTML 폼.enctype="multipart/form-data" 설정으로 Multipa

\`Persistence Layer(영속성 계층)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또는 파일 시스템과 같은 영구 저장소에 저장되고, 필요 시 이를 검색하거나 수정하는 계층을 말합니다. Persistence Layer는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