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Data Structure: Linked List, Graph, Tree

김수지·2019년 11월 15일
1

TILs

목록 보기
3/39

Today What I Learned

Javascript를 배우고 있습니다. 매일 배운 것을 이해한만큼 정리해봅니다.


3. Data Structure - Linked List

1. Linked List는 어떻게 생겼나?

1) 그림으로 그려보자.

먼저 내가 그린 그림
Linked list.jpg

좀 더 나은 그림으로...
img_jpg[그림 출처: https://codeburst.io/linked-lists-in-javascript-es6-code-part-1-6dd349c3dcc3]

2) Linked List 구조

  • Linked list는 연결된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 배열처럼 순서가 있고(ordered), 선형적(linear)인 자료 구조이다.
  • 각 노드를 살펴보면 data와 다음 노드의 주소를 담고 있다.
    여기서 다음 노드 주소를 참고하여 계속해서 노드가 연결되는 reference chain 형태이다.
  • 위의 그림에서 그린 것은 '단일 연결 리스트'이지만, 한 노드가 여러 노드와 연결되어 있는 '이중 연결 리스트' 또한 존재한다.
  • 보통 단일 연결 리스트는 자신의 다음 노드만 알고 자신의 전에 있는 노드는 알 수가 없다. 이중 연결 리스트는 이러한 문제를 풀고자 자신의 전에 위치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알고자 하여 생성되었고, 이 경우 단일 연결 리스트에 비해 메모리가 더 증가한다.
  • linked list는 stack, queue, hash table 등 다양한 자료구조를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 배열과 Linked List 비교
    image.png
    - Search 기준: linked list는 매 요소마다 계속 chaining을 하면서 검색을 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연속적으로 배치해 index 기준으로 바로 값을 검색하는 배열보다 성능상 좋지 않다. 그러나 메모리 할당은 적다.
    - 삽입/추가 기준: linked list는 중간에 데이터가 추가될 때 인덱스를 계속해서 변경해야 하는 배열에 비해 삽입/추가가 자유롭다.

2. Linked List의 property와 method

  1. Property of Linked List

    • head: 리스트가 시작되는 최상단 위치
    • tail: 마지막에 붙어있는 노드
    • length: 꼬리를 물고 연결되어 있는 노드의 개수
  2. Method of Linked List

    • add: 노드를 추가해준다.
    • remove: 노드를 제거해 준다.
    • search: value 값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지니고 있는 노드의 위치를 찾아준다.
  3. Pesuedo Code 짜보기

    • list라는 객체를 선언한다. head와 tail은 null을, length는 0을 값으로 하는 속성값을 할당한다.

    • list에 들어갈 Node를 만들 생성자 함수가 필요하다.

      • node는 value와 next(다음 노드의 주소)를 속성으로 하는 객체이다.
      • Node 생성자 함수는 data를 받아 속성인 value에 넣고, next 속성값은 null로 할당한다.
    • addEnd: 노드는 위치와 상관없이 추가가 가능하지만 일단 수도코드는 끝에 추가하는 것만 짜본다.

      • data를 전달 받아 Node 생성자 함수를 이용해 추가할 node 객체를 만든다(value는 data, next는 null)
      • list의 length 값을 +1 한다.
      • list의 head와 tail 값에 node를 넣는다.
    • removeEnd: 추가와 동일하게 끝 부분 삭제만 구현해본다.
      1) list의 length가 0인 경우 제거는 불가능하다.
      2) list의 legnth가 1인 경우 head와 tail의 값을 null로 재할당하고 length의 값도 0으로 재할당 한다.
      3) list의 length가 2 이상인 경우,

      • list의 length -1 값만큼 list의 head에서 next를 순회한다.
      • 순회 후 도착한 노드를 delete하고, null을 대신 채워 넣는다.
      • list의 length에 -1를 해준다.
    • search:
      1) list의 length가 1보다 작으면 null을 리턴한다.
      2) list의 length가 1보다 같거나 크면,

      • current 라는 변수를 선언해 list의 head를 할당한다.
      • location이라는 변수를 선언해 0으로 할당한다.
      • current의 value가 찾고자 하는 data와 같다면 location을 리턴한다.
      • 그렇지 않다면 head의 next가 null되지 않을 때까지 순회하며
        (1) current의 next가 찾고자 하는 data와 동일한지 본다.
        (2) 순회 때마다 location을 +1 한다.
        (3) current의 next가 찾고자 하는 data와 동일하면 location을 리턴한다.
        (4) 동일하지 않으면 current에 current의 next를 재할당한다.

      3) 순회가 끝나도 동일 값을 찾지 못하면 null을 리턴한다.

  4. Linked List 관련 읽어보기

  1. Functional Implementation
const LinkedList = function() {
    const list = {};
    list.head = null;
    list.tail = null;
};
//
list.addToTail = function(value) {
    const node = new Node(value);
    if (this.head === null) {
      this.head = node;
    } else {
      this.tail.next = node;
    }
    this.tail = node;
  };
  //
list.removeHead = function() {
    if(this.head === null) {
      return null;
    }
    list.head = list.head.next;
    if(this.head === null) {
      this.tail = null;
    }
    return this.head;
  };
  //
list.contains = function(target) {
    const originalHead = this.head;
    let node = this.head;
    while (node !== null) {
      if (node.value === target) {
        return true;
      }
      node = node.next;
    }
    this.head = originalHead;
    return false;
  };
//
const Node = function(value) {
    const node = {};
    node.value = value;
    node.next = null;
    return node;
};

4. Data Structure - Graph

1. Graph는 어떻게 생겼나?

1) 그림으로 그려보자.

먼저 내가 그린 그림
IMG_2600.jpg

좀 더 나은 그림으로...
img_jpg2[그림 출처: https://medium.com/@ziyoshams/graphs-in-javascript-cc0ed170b156]

2) Graph 구조

  • Graph는 상하위 개념이 없는 노드(혹은 버텍스)와 노드들을 잇는 엣지(아크)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구조이다.
  • Graph에서는 모든 노드들이 관계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어 비교적 자유로운 구조이다.
    • node : 그래프 상의 정점
    • edge : 정점과 정점 사이의 간선
    • cycle : 노드가 엣지를 통해 다시 자기에게 돌아오는 것
    • path : 정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는 경로
    • shortest path : 정점에서 정점으로 이동하는 최단 경로
  • Graph는 비선형(non-linear)적이며, network model이라고도 불린다.
  • 실생활에서는 지도, 지하철 노선도 등이 Graph 구조의 좋은 예시이다.
    페이스북 친구 추천이나 e-commerce 추천 알고리듬에서도 사용된다.
  • 노드는 방향성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해 각각을 '무방향성 그래프', '방향성 그래프'라고 나뉘어 부른다.
    • degree: 노드 간 방향이 없는 경우, 노드 하나에 연결된 엣지 수의 합을 가리킨다.
    • in-degree: 노드 간 방향이 있는 경우, 외부에서 자신의 노드 쪽으로 향하는 엣지 수의 합을 가리킨다.
    • out-degree: 노드 간 방향이 있는 경우, 자신 노드로부터 외부로 향하는 엣지 수의 합을 가리킨다.
  • Graph를 표현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2차원 배열로 표시, 연결리스트로 표시
    image.png
    [자료 출처: https://www.zerocho.com/category/Algorithm/post/584b9033580277001862f16c]

2. Graph의 property와 method

  1. Property of Graph

    • node
    • edge: node의 속성으로 넣을 수 있음(배열 혹은 객체 모양으로)
  2. Method of Graph

    • addNode
    • removeNode
    • addEdge
    • removeEdge
    • contains
    • hasNode
    • hasEdge
  3. Pseudoclassical Implementation

const Graph = function() {
  this.nodes = {};
}

Graph.prototype.addNode = function(node) {
  this.nodes[node] = this.nodes[node] || {edges: {} };
};

Graph.prototype.cotains = function(node) {
  return !!this.nodes[node];
}

Graph.prototype.removeNode = function(node) {
  if(this.contains(node)) {
    const keys= Object.keys(this.nodes[node].edges);
    for(let i = 0; i < keys.length; i++;) {
      this.removeEdge(node, keys[i]);
    }
    delete this.nodes[node];
  }
};

Graph.prototype.hasEdge = function(fromNode, toNode) {
  if(!this.contains(fromNode)) {
    return false;
  }
  return !!this.nodes[fromNode].edges[toNode];
};

Graph.prototype.addEdge = function(fromNode, toNode) {
  if(!this.contains(fromNode) || !this.contains(toNode)) {
    return;
  }
  this.nodes[fromNode].edges[toNode] = toNode;
  this.nodes[toNode].edges[fromNode] = fromNode;
};

Graph.prototype.removeEdge = functino(fromNode, toNode) {
  if(!this.contains(fromNode) || !this.contains(toNode)) {
    return;
  }
  delete this.nodes[fromNode].edges[toNode];
  delete this.nodes[toNode].edges[fromNode];
};

Graph.prototype.forEachNode = function(callback) {
  const keys = Object.keys(this.nodes);
  for(let i = 0; i < keys.length; i++) {
    callback(keys[i]);
  }
};
  1. Graph 관련 읽어보기

5. Data Structure - Tree

1. Tree는 어떻게 생겼나?

1) 그림으로 그려보자.

tree 구조는 익숙하다. 보통 이렇게 생김.
img_jpg3[그림 출처: https://chercher.tech/kotlin/tree-kotlin]

2) Tree 구조

  • 나무를 뒤집어 놓은 것처럼 하나의 시작 노드부터 시작되어 자식 노드들이 파생되는 자료 구조이다.
  • tree 구조는 graph의 일종이나 양방향이나 원형 구조로 존재하지 않는다.
  • HTML의 자료 구조가 가장 좋은 예시이다.
  • 몇가지 용어들
    • Root : 시작하는 노드, 1개 뿐이고 root 외에는 시작이 될 수 없다.
    • Leaf : 가장 하단에 있는 마지막 노드, 자식 노드가 없다.
    • Edge/Branch : 노드와 노드의 연결
    • Path: 노드 간의 연결
    • Parent & Child: 부모와 자식 노드, 자식 노드의 부모 노드는 1개 뿐이다.
    • Children & Sibling: 부모 노드 아래로 파생된 모든 노드를 children에 담고 있다. 같은 부모 노드를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들은 서로를 sibling으로 본다.
    • Height: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간 edge의 개수
  • zerocho님의 자료구조(트리, tree) 블로그: https://www.zerocho.com/category/Algorithm/post/580ed6eb77023c0015ee9686
  • 우유로 트리를 시작해 본다면? (자료 검색하다가 재미있어 보여서 가져와봤다🐼🐼🐼)
    img_png1[그림 출처: https://chercher.tech/kotlin/tree-kotlin]

2. Tree의 property와 method

  1. Property of Tree
    • value
    • children : 자식 트리
  2. Method of Tree
    • insert : 자식 트리를 추가
    • remove : 자식 트리를 삭제
    • contains : 트리가 해당 노드 값을 가지고 있는가
    • traverse : 모든 트리의 value를 callback 함수에 의해 변경
    • map : callback 함수에 의해 변경된 새로운 트리 반환
  3. Pseudoclassical Implementation
const Tree = function(value) {
  this.value = value;
  this.children = [];
}

Tree.prototype.addChild = function(value) {
  const child = Tree(value);
  this.children.push(child);
}

Tree.prototype.contains = function(target) {
  if(this.value === target) {
    return true;
  }
  for(let i = 0; i < this.children.length; i++) {
    const child = this.children[i];
    if(child.contains(target)) {
      return true;
    }
  }
  return false;
}

Tree.prototype.traverse = functoin(callback) {
  callback(this.value);
  
  if(!this.children) {
    return;
  }
  for(let i = 0; i < this.children.length; i++) {
    const child = this.children[i];
    child.traverse(callback);
  }
});

Tree.prototype.map = funcion(callback) {
  const newTree = new Tree();
  newTree.value = callback(this.value);
  
  function recursion(children, tree) {
    if(children.length) {
      for(let i = 0; i < children.length; i++) {
        const child = chilren[i]
        const newChild = new Tree(callback(child.value));
        tree.addChild(newChild);
        recursion(child.children, newChild);
      }
    }
  }
  recursion(this.children, newTree);
  return newTree;
};
profile
선한 변화와 사회적 가치를 만들고 싶은 체인지 메이커+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