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회차 수업필기 – helbak 사이트 만들기
미디어쿼리를 사용할 때, index.html head부분에 넣어야하는 것. 반응형 웹사이트를 만들려면 viewport값을 넣어줘야 함.
현재 header태그 안쪽에 a, nav태그가 있음. 그런데 li태그안쪽에 float이 있어서 부모의 높이 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header부분을 선택했을 때 nav태그는 감싸지 않음.
현재 header태그의 높이는 65다.
header부분을 선택할 때, nav태그까지 같이 선택되게 하고 싶을때는.
부모에게 overflow: hidden를 넣게되면 자식의 높이값을 부모가 인식할 수 있다.
현재 자식의 높이값을 부모가 인식해서 높이값이 65만큼 더해져서 130으로 높이값이 변경됨.
공간내에 있는 이미지의 중앙정렬공식 잘 알아두기! - 실무에서 잘 사용되는 공식, 외우기.
top: 50%;
transform: translateY(-50%);
모바일작업후에, pc버전 작업!
@media (min-width: 47em) {
#header {
position: fixed;
width: 100%;
height: 80px;
top: 0;
left: 0;
z-index: 99999; <- 헤더부분이 가장 위에 계속 있어야하므로 제일 큰 수로 지정.
}
pc버전은 높이를 80px로 지정한 모습.
a태그의 공간크기 태그한것과 맞는지 확인하기.
text Product1 에 대한 위치조정.
position absolute 썼기 때문에 3차원. 이미지는 2차원. 그래서 이미지가 뒤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왼쪽은 모바일, 오른쪽은 pc버전.
nav태그에 ul –li태그만 오는 것이 아니라, 이처럼 h태그도 올 수 있다!
모바일버전 완성!
pc버전도 완성!
id의 성질 – 여러개 있으면 안되고 하나만 있어야 됨. 하나의 문서안에 id가 하나만 있어야됨.
a태그 안에는 세가지가 들어갈 수있다.
웹사이트주소, 파일명, id명.
<li><a href="https://www.naver.com/">one</a></li>
<li><a href="contact.html">two</a></li>
<li><a href="#three">three</a></li>
a태그에 class는 넣을 수 없음!
지정한 크기를 넘어갔을 때 글자는 자동 줄바꿈현상이 일어난다. 이 자동 줄바꿈현상을 하지 않으려면,
white-space: nowrap; 하면됨.
white-space: nowrap;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말줄임표시.
.ellipsis {
white-space: nowrap;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코드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즉,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 태그를 미리 css에 설정해두고, html태그에 추가시키는 형식.
아래 부분 크기를 똑같이 설정했는데 왜 왼쪽과 오른쪽의 폭이 다른지 이해가 안됨ㅠ
다시한번 수업들어봐야겠음..
재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