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관제 2년에 풀스택 개발자 3년차에 스타트업 팀장으로 들어와
개발팀을 처음 꾸리면서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어떻게 개발을 진행해 나갈 것인지 고민하면서 생각한 것들을 정리할 예정

1. 개발 환경 세팅

github, aws(ec2,eks,ecr,s3), github action ,watchtower

2. 사용 툴

vscode, github coplit, figma , notion... 이외 google docs로 공유 및 정리

3.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프론트 - react, next, storybook

백엔드 - node,express, nest

TDD - jest

서버 - linux , aws(ec2 ...)

컨테이너 기술 - docker, kubernetes(eks),rook-ceph, helm

CI/CD - github action, watchtower,Harbor,ECR

웹 서버 or 프록시 - nginx, alb, Route 53

사용 언어 및 프레임워크

  • javascript, typescript, python, kotlin, flutter

4. 개발 환경을 어떻게 세팅?

  • 스타트업에서 돈을 아끼면서 회사 내부 개발서버를 구축
    - 데스크탑 하나에 우분투 20.04 설치
    - ssh 세팅(ssh key를 가지고 회사 내부 망에서만 연결할 수 있도록 설정)
    - 포트 포워딩 설정(웹 - 80,443) 이외의 포트는 비밀.. ㅎㅎ
    - nginx, docker, docker-compose, nvm 기타 .... 세팅
    - 도메인 구매 및 ssl 설정(let's encrypt- 와일드 카드로)

    일단은 위 과정으로 개발 서버 세팅을 진행 함
profile
엔아이 마케팅 개발팀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