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E의 해의 유일성 (1)

DongYoung Kim·2022년 7월 28일
0

Nonlinear Dynamics

목록 보기
3/6

<본 글은 아래 링크의 NPTEL의 강의를 참조하였음을 밝혀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yzX8_E9ly0&list=PLHj96QRJ0kOitUZeV9iK7cCTb8Ell7Joc&index=8&ab_channel=NPTEL-NOCIITM

  저번 글에서는 여러가지 Lipschitz condition에 대해 다루어 보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조건이 어떻게 ODE의 해의 유일성과 연관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Theorem) (Picard-Lindelof theorem) x(0)Rnx(0) \in \mathbb{R}^n을 만족하는 x˙=f(x)\dot{x}=f(x)와 함수 f:RnRnf:\mathbb{R}^n \rightarrow \mathbb{R}^n에 대해, ffx(0)x(0)에서 locally Lipschitz할 경우, δ>0\delta>0에 대해 interval t[0,δ]t \in [0, \delta]에서 x˙=f(x)\dot{x}=f(x)가 유일한 해 x(t)x(t)를 갖는 상수 δ\delta가 존재한다.

  위 theorem을 증명하는 것은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언급된 ffxxtt에 대한 derivative임을 우리는 먼저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theorem이 사실이라고 한다면, interval t[0,δ]t \in [0, \delta]에 대해서, x(t)x(t)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이 때 사용되는 것이 Picard's iteration입니다. 먼저 이 글에서는 Picard's iteration에 대해 소개드린 후, 다음 글부터 순차적으로 이에 대한 증명을 하겠습니다. 이에 앞서, 사소한 정의 하나부터 하겠습니다.

Definition) 임의의 신호 x(t),t[0,T],TR;x(t), \, t \in [0, T], T \in \mathbb{R};와 해당되는 초기조건 x(0)Rnx(0) \in \mathbb{R}^n에 대해, x0x_0x0(t)=x(0)fort[0,T]x_0(t)=x(0) \, for \, \forall t \in [0, T]인 상수신호이다.

Definition) (Picard's iteration) 초기조건 x(0)Rnx(0) \in \mathbb{R}^n과 interval [0,T][0, T]에 정의된 미분방정식 x˙=f(x)\dot{x}=f(x)가 주어졌다고 하자. kNk \in \mathbb{N}에 대해 φ0(t)=x0(t):fort[0,T]\varphi_0(t)=x_0(t):for \, t \in [0, T]인 신호로 이루어진 수열

φk+1(t)=φ0(t)+0tf(φk(τ))dτ;\varphi_{k+1}(t) = \varphi_0(t) + \int_{0}^{t} f(\varphi_{k}(\tau)) \,d\tau ;

을 Picard's iteration이라고 한다. 또한 P(φk(t))=φk+1(t)P(\varphi_{k}(t))=\varphi_{k+1}(t)를 만족하는 operator PP를 Picard's operator라고 한다.

  Picard's iteration의 핵심은 만약 ff[0,T][0, T]에서 locally Lipschitz한 경우, x(t)x(t)가 미분방정식 x˙=f(x)\dot{x}=f(x)의 해라고 했을 때, iteration의 극한값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입니다.

limkφk(t)=φ(t)=x(t)t[0,T];\lim_{k \rightarrow \infin}\varphi_{k}(t) = \varphi(t) = x(t) \, \forall t \in [0, T];

Conclusion

  다음 글에서는 왜 locally Lipschitz condition을 만족할 때, Picard's iteration을 통해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Bayesian, System engineer, Evangeli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