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E의 해의 유일성(3)

DongYoung Kim·2022년 9월 20일
0

Nonlinear Dynamics

목록 보기
5/6

<본 글은 NPTEL의 아래 유투브 강의 내용을 참고하였음을 먼저 밝혀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1pE1sIINwwc&list=PLHj96QRJ0kOitUZeV9iK7cCTb8Ell7Joc&index=9&ab_channel=NPTEL-NOCIITM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Picard's operator가 contractive transformation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려고 합니다. 이에 앞서, 제 글에서는 x0x_0R×Rn\mathbb{R} \times \mathbb{R}^n인 constant signal이고 x(0)x(0)Rn\mathbb{R^n} vector임을 밝혀드립니다.

  또한 Picard's operator는 함수 xSx \in S에 대해 PxXPx \in \mathcal{X}로 mapping시키는 함수이지만, P(x(t))RnP(x(t)) \in \mathbb{R^n}PxPx가 특정 시간 tt에서 갖는 함수값으로 정의하겠습니다.

  증명에 앞서, 먼저 Picard's operator의 정의에 대해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Definition) (Picard's iteration) 초기조건 x(0)Rnx(0) \in \mathbb{R}^n과 interval [0,T][0, T]에 정의된 미분방정식 x˙=f(x)\dot{x}=f(x)가 주어졌다고 하자. kNk \in \mathbb{N}에 대해 φ0(t)=x0(t):fort[0,T]\varphi_0(t)=x_0(t):for \, t \in [0, T]인 신호로 이루어진 수열

φk+1(t)=φ0(t)+0tf(φk(τ))dτ;\varphi_{k+1}(t) = \varphi_0(t) + \int_{0}^{t} f(\varphi_{k}(\tau)) \,d\tau ;

을 Picard's iteration이라고 한다. 또한 P(φk(t))=φk+1(t)P(\varphi_{k}(t))=\varphi_{k+1}(t)를 만족하는 operator PP를 Picard's operator라고 한다.

  또한, 저번 글에서는 Picard's operator PP의 domain SSS={xX:xx0supr}S=\{x \in \mathcal{X} : \, ||x - x_0||_{sup} \le r\}로 두었습니다. 따라서 먼저 Picard's operator PP의 codomain이 SS이고, contractive하기 때문에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theorem을 증명해야 합니다.

Theorem)

Let

X:=C0([0,δ],Rn)\mathcal{X}:=C^0([0, \delta], \mathbb{R^n})

and

S={xX:xx0supr}S=\{x \in \mathcal{X}:||x-x_0||_{sup} \le r \}

for some δ0\delta \ge 0 and r0r \ge 0.

  For some given signal xXx \in \mathcal{X}, let ff is locally Lipschitz on x(0)=x0(t):t[0,δ]x(0) = x_0(t):t \in [0, \delta], where Lipschitz on some closed ball Bˉ(x(0),r)Rn\bar{B}(x(0), r) \subset \mathbb{R^n}. Then Picard's operator P:SXP:S \rightarrow \mathcal{X} is onto SS and also contractive;

Proof)

  First, we need to show that PP is an operator from SS into SS. For

X:=C0([0,δ],Rn)\mathcal{X}:=C^0([0, \delta], \mathbb{R^n})

we know that

S={xX:xx0supr}S=\{x \in \mathcal{X}:||x-x_0||_{sup} \le r \}

hence x0Sx_0 \in S.

  For any xS:x \in S: we need to prove that

Pxx0supr;||Px-x_0||_{sup} \le r ;

  먼저, interval 내 임의의 원소 t[0,δ]t \in [0, \delta]에 대해, Picard's operator P:SXP:S \rightarrow \mathcal{X} 를 정의할 수 있으며, Rn\mathbb{R^n} 공간에서의 norm은 다음과 같은 최댓값을 갖습니다.

Given    P(x(t))=x0(t)+0tf(x(τ))dτ:Given \; \; P(x(t))=x_0(t)+\int_{0}^{t}f(x(\tau)) d\tau :

P(x(t))x(0)2=0tf(x(τ))dτ20t(f(x(τ))f(x(0))2+f(x(0))2)dτ0δ(Lx(τ)x(0)2+f(x(0))2)dτ    0δLrdτ+δf(x(0))2    since  xS=δ(Lr+f(x(0))2)||P(x(t))-x(0)||_2=||\int_{0}^{t}f(x(\tau)) d\tau||_2 \\ \le \int_{0}^{t}(||f(x(\tau))-f(x(0))||_2+||f(x(0))||_2)d\tau \\ \le \int_{0}^{\delta}(L||x(\tau)-x(0)||_2 +||f(x(0))||_2)d\tau \; \; *\\ \le \int_{0}^{\delta}Lr d\tau +\delta||f(x(0))||_2\; \; since \; x \in S\\ =\delta(Lr + ||f(x(0))||_2)

(*0tδ0 \le t \le \delta이고, x(t)x(t)t[0,δ]t \in [0, \delta]에서 x(0)x(0)와의 차이가 rr 이내이며 ffBˉ(x(0),r)Rn\bar{B}(x(0), r) \subset \mathbb{R^n}에서 Lipschitz함)

따라서, 우리는 모든 t[0,δ]t \in [0, \delta]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질을 만족함을 보였습니다.

P(x(t))x(0)2δ(Lr+f(x(0))2)||P(x(t))-x(0)||_2 \le \delta(Lr + ||f(x(0))||_2)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Pxx0supδ(Lr+f(x(0))2)||Px-x_0||_{sup} \le \delta(Lr + ||f(x(0))||_2)

만약 우리가 δ\delta에 대해,

δ(Lr+f(x(0))2)rδrLr+f(x(0))2\delta(Lr + ||f(x(0))||_2) \le r \leftrightarrow \delta \le \frac{r}{Lr + ||f(x(0))||_2}

를 만족한다는 조건을 추가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Pxx0supr||Px-x_0||_{sup} \le r

  그러므로 위 조건을 만족하는 δ\delta를 고른다면, opertaor PP에 대한 결과 PxPx는 항상 PxSPx \in S를 만족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PPSS에서 SS로 mapping시키는 함수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PP가 contractive하다는 것을 증명하여, 최종적으로 PP를 통해 미분방정식의 해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Bayesian, System engineer, Evangelist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10월 15일

안녕하세요 글 잘 보고 있어요..!
제가 요즘 많이 고심하는데도 모르겠어서
여쭤보고 싶은 공업수학 문제가 있는데
혹시 답변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곤란 하시다면 답변 안 해주셔도 괜찮아요
문제는 이거예요…!

“분리가능 상미분 방정식은 양형태 상미분 방정식의 일부이고, 완전 상미분 방정식은 음형태 상미분 방정식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양형태의 상미분 방정식 중 분리가능한 상미분 방정식을 제외하고 남은 상미분 방정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즉, 분리가능하지 않은 상미분 방정식들), 음형태의 상미분 방정식 중 완전 상미분 방정식을 제외하고 남은 상미분 방정식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즉, 완전하지 않은 상미분 방정식들) 쓰시오.
즉.
양형태의 상미분 방정식의 전체 집합을 W.
음형태의 상미분 방정식의 전체 집합을 U,
분리가능한 상미분 방정식의 전체 집합을 A,
완전 상미분 방정식의 전체 집합을 B
라고 할 때
집합 A^c ᑎ W 과 집합 B^c ᑎ U 에 대해 기술하는 문제이다. 그 집합에 해당하는 미분 방 정식의 예를 몇 개 구하고 그들의 공통된 특징을 기술하는 방법을 써도 좋고, 아니면 이 집 합에 속하는 방정식들의 특징을 바로 기술하여도 좋다.“

답글 달기